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ㆍ중 FTA 타결… 위안화 관련 금융상품 출시 봇물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로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들이 관련 예금ㆍ대출ㆍ파생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주요 은행들은 최근 회의를 열어 위안화 결제 확대 목표치를 점검하고 관련 상품 출시 등을 논의했다.은행들은 이 자리에서 내년에 위안화 결제 비중이 올해의 2~3배로 급증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FTA 체결과 원·위안 직거래 시장 개설로 조속한 시일 내 위안화 결제 비중이 두 배 이상 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재 한ㆍ중 교역량(지난해 기준 2288억달러)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1.2%에불과하다. 이를 중장기적으로 20%로 높이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위안화 결제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에 유입ㆍ거래되는 위안화를 취급하는 금융상품도 잇따라 출시된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이번 주 공동으로 위안화 정기예금을 6개월 및 1년 만기로 출시, 4억위안 한도로 특별 판매한다.금리는 6개월만 맡겨도 연 3% 를 준다. 시중은행들의 6개월짜리 원화 정기예금 금리가 낮게는 1% 중후반대인 점을 고려하면 2배 가까운 이자를 주는 셈이다.

우리은행도 역외 위안화(CNH)를 기준금리로 삼은 위안화 예금 패키지(입출식 통장, 자유적립식 및 회전식 정기예금)를 출시했다.예금 금리는 최장 3년 간 추가 적립할 수 있는 자유적립식과 최장 6개월마다 금리가 바뀌는 회전식이 연 3.07%(우대금리 포함)다.

신한은행은 금리 우대가 위안화 정기예금 상품 도입을 적극 검토하면서 올해 안에 위안화 외화 대출도 도입하기로 했다.기업은행 역시 현재 1년 만기에 금리가 2.9%인 위안화 정기예금 상품을 개편해 내놓을 계획이다.

은행들은 상대적인 고금리로 유치한 위안화 자금을 주로 수출기업 대상 위안화 대출이나 파생상품 거래 등에 활용한다.지난달 말 ‘글로벌 위안화 대출’을 출시한 외환은행은 최근 한 해외 플랜트 업체에 대해 6000만위안 규모의 위안화 대출 한도를 제공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도 “올해 안에 위안화 표시 외화대출 상품을 개발, 대중 수출 기업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외환은행이 최근 대중 자동차 부품 수출 기업과 계약한 원ㆍ위안화 통화옵션 직거래 등 위안화 옵션·선물 거래도 이뤄지고 있다.

이 밖에 한ㆍ중 FTA로 중국 금융시장의 투명성과 개방도가 높아져 국내 금융기관들의 현지 진출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박병원 은행연합회장은 전날 “은행 산업, 금융 산업 전체, 더 나아가 서비스 산업 전체 입장에서 FTA가 도약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