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중FTA> 전자산업, 나쁘지 않아...일부 소형가전부문은 중국산 공세 우려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전자 산업은 전반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나쁘지 않은 상황이지만, 일부 소형가전업체들은 중국산의 공세를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미 중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해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관세 철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를 비롯해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중국에서 직접 생산해 중국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10일 “중국 현지에 공장이 다 있고, TV와 반도체, 생활가전 등 대부분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해왔기 때문에 관세가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다만 한중 양국의 교역이 확대되면 무역량이 확대되는 등 간접적으론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컴퓨터ㆍ반도체 등은 이미 첨단 전자산업 교역을 자유화하기 위한 정보기술협정(ITA)이 발효 중이라 관세 적용을 받지 않는다.

LG전자의 상황도 비슷하다. LG전자는 중국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대부분 제품 공장을 갖추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올 하반기 중국 LCD 공장이 가동에 들어갔다. LG전자 관계자는 “중국 내 판매제품은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어 한중 FTA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다” 고 말했다.

동부대우전자는 한중FTA 체결로 인한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동부대우전자는 중국에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공장이 있지만, 중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일부는 ‘한국산 프리미엄 제품’임을 내세워 한국 공장에서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세가 사라지면 수출 경쟁력 개선이 예상된다.

다만 국내 가전 업체, 특히 소형 가전 업체들의 경우 중국 전자업체들의 저가 공세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어려운 생산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품질 차이도 크게 없는 소형가전은 소비자들이 가격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중국산도 가리지 않고 구매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