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PEC이 ‘역내 최대 FTA’ 밑그림 될까
11일 베이징 개막 APEC 정상회의 과제는…
美·中 경제통합 주도권 다툼속
亞太정상 열린 경제협력 구상


11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 11차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막이 오른다. 1989년 11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각료회의로부터 따지면 APEC은 올해 출범 25주년을 맞는 해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는 APEC의 출범을 주도한 국가중 하나다. APEC이 아ㆍ태 지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높이고, 공동 번영을 가져와 궁극적으로 지역 내 정세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호주와 손잡고 출범을 주도했다.

1991년 서울에서 열린 3차 각료회의에는 우리나라의 설득으로 중국과 대만, 홍콩 등 중화권 국가들이 모두 참여하면서 명실상부한 아ㆍ태지역 최대 경제 협력체로 도약했다. 당시 채택된 ‘서울선언’은 “여타 다른 지역 경제 실체들의 경제적 이익에 합치하는 개방적 다자 무역체제를 지향한다”고 밝혀 ‘열린 지역주의(open regionalism)”을 표방했다. ‘합의(consensus)’와 ‘자발적 이행’에 입각한 의사결정 구조도 갖췄다. “공동번영을 통해 아ㆍ태지역 통합을 추구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사반세기가 흐른 지금, APEC은 중대 위기를 맞고 있다.

G2로 부상한 중국과 이를 견제하려는 미국의 경쟁은 APEC의 경제 통합에 대한 주도권 다툼으로 번지고 있다. ▶관련기사 8면

오랜 기간 이어진 경제 교류에도 불구하고 한ㆍ일, 중ㆍ일 간 역사 문제, 남중국해 문제 등 정치적 갈등이 계속되는 ‘아시아 패러독스(Asia paradox)’는 여전하다. 서로 다른 경제 수준을 가진 참가국들의 이해를 한데 모아 통합으로 나아가는 길도 험난하기만 하다.

이 같은 격랑 속에서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은 통합을 위한 지혜를 짜내기 위해 ‘동분서주’할 것으로 보인다. 한ㆍ미ㆍ중ㆍ일 정상은 회의 기간 틈틈이 만나 북핵과 한반도 문제, 지역 정세와 글로벌 이슈에서 협력을 논의한다. 정치적 목소리를 점차 높이고 있는 아세안(ASEAN)과 오세아니아 국가들과도 별도 회동을 갖고 자유무역협정(FTA) 등 협력을 모색한다.

이번 APEC의 성과와 과제는 연이어 열리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 G20 정상회의로 이어진다. 아ㆍ태 지역의 변화가 전 세계의 변화를 이끌게 되는 셈이다. 아ㆍ태 지역 협력의 처음을 연 한국이 10일 중국과 FTA 협상을 타결한 것처럼 그 완성도 성공으로 매듭지을 수 있을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원호연 기자/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