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SAT 과열해소 · 분야별 맞춤인재 선발
삼성 대졸 공채제도 대폭 손질 왜?..
삼성이 5일 대졸신입사원 공개채용 제도를 대폭 손질한 배경에는 각 분야별로 최적화된 인재를 채용하려는 목적이다. 아울러 매년 수 십만 명이 몰리는 SSAT 과열 부작용을 해소하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삼성의 채용제도 변화로, 일단 전공불문으로 묶음으로 공채를 뽑고 이후 직무를 나누던 기업들의 채용관행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직무별 적성을 키우기 위한 대학교육의 변화, 특히 이공계 교육내용의 긍정적인 변화도 기대된다.

새 채용제도의 가장 큰 변화는 직무별 맞춤 선발을 위한 서류전형 방식의 직무적합성평가 도입이다. 학교나 경력 등 이른바 ‘스펙’을 보던 일반적 서류전형과는 전혀 달리 직무와 관련된 능력 중심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학력과 전공 차별 등의 논란으로 백지화된 ‘총장추천제’ 이후 삼성이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이다.

삼성 측은 “서류전형이라기보다는 직무적합성 평가로 이해해 달라”면서 “출신대학 어학연수 같은 스펙이 아니라 직무 특성 관련된 내용 중심 평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공계의 경우 전공점수가 1차 전형의 당락을 결정할 전망이다.

삼성 측은 “입사후 업무성과가 우수한 사원들의 성공요인을 분석해보니 연구개발기술직은 전공점수 연관성이 높게, 영업과 경영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면서 “연구개발기술직은 대학에서 전공과목 얼마나 이수했고, 얼마나 어려운걸 이수했고 좋은 점수 취득했는가를 평가하는 방식이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인문계 직무적합성 평가에 대해서는 “일종의 직무에세이를 제출하는 방식인데, 평소 지원자가 지원 직무에 다양 관심 갖고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이런 사례를 에세이에 녹여 제출하면 선발위원들 평가하게 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번 제도는 대학에서 운영하는 학점제도를 신뢰한다는 전제하에 시행하는 것으로 기업고 대학과의 신뢰가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1차 전형으로 직무적합성 평가가 도입됨에 따라 그 동안 모든 지원자가 치르던 SSAT는 응시자수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삼성 측은 “직무적합성평가를 통과하는 사람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지만, 지금보다는 줄어들지 않겠느냐”라고 언급했다. 게다가 SSAT도 분야별, 전공별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부분을 강화하고, 1차 전형의 점수가 높은 경우 가산점을 주도록했다. 한편 영어자격평가는 지금처럼 병행평가 요소로 일정수준 이상이면 통과된다.

홍길용ㆍ신상윤ㆍ조민선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