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 직무적합성평가 도입…공채, 직군별로 SSAT본다
내년 하반기부터 선발방식 변화
직무적합성평가 → SSAT → 면접



삼성이 내년 하반기 공채부터 각 분야별로 인재를 채용하는 제도를 도입한다. 기존 SSAT(삼성직무적성검사)를 통과한 이들을 대상으로 직군별 인재를 뽑던 대졸공채 방식을 뒤짚어 직군별로 SSAT 응시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삼성은 5일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 시험 위주의 획일적 채용방식을 직군별로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대졸 신입사원 채용제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모든 지원자들이 SSAT를 치르던 방식과 달리 ‘직무적합성평가’를 도입, 이를 통과한 인재들에게 SSAT 응시기회를 부여하게 된다. 직무적합성평가는 이공계의 경우 전공이수 정도와 전공 능력을, 인문계의 경우 이른바 자기소개서 등을 통한 직무적합성 등을 평가하게 된다. 서류전형 형식이지만 직무역량과 무관한 스펙 등은 반영하지 않는다.

SSAT도 다양한 직군별 특성을 반영해 손을 본다. 다양한 직군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개발, 기술직군 등 전공능력이 중요한 분야는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지원자에게 상당한 가점을 주어 SSAT의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특히 소프트웨어직군은 아예SSAT 대신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를 도입, 프로그래밍 개발능력이 우수한 지원자를 선발하기로 했다.

면접에서도 창의적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창의성 면접’을 도입한다. 창의성면접은 지원자와 면접위원의 토론을 통해 지원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논리 전개과정을 평가하게 된다. 면접 역시 방식과 내용 및 시간을 직군별로 차별화할 계획이다.

삼성은 “경영환경의 변화와 글로벌 주요 기업들의 사례, 입사 후 우수 직원들의 업무성과 요인 등을 분석한 결과 직군별 성과요인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직군별 채용제도를 도입하게 됐다”며 “채용제도를 개편하더라도 채용과정 전반에 걸쳐 학력, 성별 등의 불합리한 차별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고 실력으로 평가받는 열린채용의 기조는 지속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