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경환, “석유공사에 하베스트 인수 위험부담 잘 판단하라 했다”
[헤럴드경제 = 하남현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한국석유공사의 캐나다 하베스트 인수와 관련해 2009년 인수 협상 당시 강영원 석유공사 사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위험부담을 잘 판단하라는 취지로 답했다고 밝혔다. 한국석유공사의 하베스트 인수는 대표적인 자원개발 실패 사례로 꼽힌다.

최 부총리는 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그분(강영원 전 사장)이 토요일 또는 일요일에 한 5~10분 정도 (보고를) 해왔다”며 “공공기관 워크숍 등 바쁜 스케줄이 있었는데, (강 전 사장이) 그때 하류부분을 같이 인수하지 않으면 팔지않기로 했다는, 사정 변경이 생겼다는 취지로 물어온 것 같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그래서 내가 ‘당신 하류부문 정유사업을 해보지 않았으니 위험 부담이 있지 않느냐. 잘 판단해보라’는 취지로 말했다”며 “당시는 날(NARLㆍ노스아틀랜틱리파이닝)이 어떤 회사인지 파악이 덜 돼 있었고, 그 이후 날에 대해 더 파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사 사장이 5분 정도 얘기 할 수 있는 것이고, 나도 리스크를 고려해 대응하라고 답변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달 23일 산업위 국정감사에 출석해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이던 최 부총리에게 사전 보고를 했고, 최 부총리가 ‘잘 검토해 추진하라’고 답변했다”고 밝힌강 전 사장의 증언과 다소 다른 내용이다.

최 부총리는 또 강 전 사장의 증언 이후 논란이 일자 “보고를 받은 기억이 없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날은 보고 청취를 한 사실 자체는 시인했다.

석유공사는 2009년 하베스트사와 자회사인 노스아틀랜틱리파이닝(NARL)을 함께 인수했으나, 이후 NARL이 매년 약 1천억 원의 적자를 내자 매각을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막대한 손실을 봐 부실매각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최 부총리는 “구체적 사업에 대해 이것을 ‘해라 말아라’ 하는 게 아니고 포괄적이고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서 하느냐를 관리 감독하는 것”이라며 “개인의 잘못을 따질 일이 아니라 절차에 따라 됐는지 하는 부분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야당의 자원외교 실패 주장에 대해 “자원 개발은 기본적으로는 리스크가 높은 사업으로 우리뿐 아니라 실패한 사례도 성공한 사례도 많다”며 “지금제시한 그런 부분들이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례가 돼 송구스럽게 생각은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자원 개발은 조금 중장기적 관점으로 봐야 한다”며 “국민 혈세와 관련한 부분이기 때문에 만에 하나라도 이런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 감독 규정을 정비하는 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