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명 브랜드 향수,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 다수 검출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시중에 유통 중인 국내외 유명 브랜드의 향수 제품에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착향제가 다수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착향제는 접촉성 피부염ㆍ색소이상ㆍ광화학반응ㆍ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향수 40개 제품(수입향수 20개ㆍ국산향수 20개)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20종) 사용 여부를 시험 검사한 결과, 조사대상 전 제품에 각종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착향제 성분이 4종에서 많게는 15종까지 검출됐다고 3일 밝혔다.

국내외 임상시험 결과 단일 성분보다 다수의 착향제를 사용한 제품의 안전성이 보다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미지출처=123RF>

조사대상 40개 중 15개 제품(수입 6개ㆍ국산 9개)은 일부 착향제 성분이 10ppm 이상 포함되어 있음에도 제품에 해당 성분을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15개 제품(수입 7개ㆍ국산 8개)에서 유럽연합에서 안전성 문제로 사용금지를 추진하고 있는 착향제인 HICC(하이드록시이소헥실3-사이클로헥센카복스 알데하이드) 성분이 검출됐다.

이 중 7개 제품(수입 4개ㆍ국산 3개)은 HICC를 표시하지 않았고, 특히 2개 제품(수입 1개ㆍ국산 1개)은 동 성분이 10ppm 이상 포함되어 있었으나 표시가 없어 소비자 안전이 우려됐다.

또 전성분표시 실태조사 결과, 조사대상 40개 중 50ml(g) 이하 용량의 국산향수 3개 제품은 표시가 전혀 없었다. 


향수는 귀ㆍ손목 등 신체 국소 부위에 소량 사용하므로 50ml(g) 이하 제품이 보편적인데, 현행 법규상 50ml(g) 이하 화장품은 포장에 대부분의 성분 표시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로부터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고 제품 사용 중 부작용 발생 원인을 쉽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의무표시제 도입이 시급하다”며 “또한 착향제에 민감한 소비자가 제품 구입 시 해당 성분의 포함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 용량에 관계없이 성분이 표시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 26종의 표시 의무화 ▷향수를 포함한 화장품은 용량에 관계없이 전성분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도개선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할 계획이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