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별칭은 궁루, 사회 지배하는 수단”
[헤럴드경제]조선시대 ‘자격루’보다 앞선 물시계가 고려시대에 존재했다고 사료를 통해 규명한 논문이 나왔다.

지난 27일 전남대에 따르면 인문대학 사학과 박사과정 서금석씨는 조선 세종 시기 자격궁루(自擊宮漏)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사용됐던 고려시대 물시계의 이름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서씨는 논문에서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은 루상수(漏上水)였으며, 별칭으로 궁루(宮漏)·금루(禁漏)·은루(銀漏) 등으로도 불렸다”고 밝혔다.

이어 서씨는 “고려시대 물시계는 왕실 등에서 비교적 폭넓게 사용됐는데 그 형태나 이름에 관해 남아 있는 사료가 거의 없다”며 “고려사에 대한 연구 작업 도중 당시 쓰였던 물시계를 언급한 자료를 확인해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도 확실하게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사진=KBS ‘한국의 유산’ 자격루 복제품 캡처]

또 서씨는 “물시계가 단순히 시간만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를 규율하고 지배하는 통치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그 이름을 명확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씨의 논문은 고려시대 물시계의 제작과 시간 질서가 전통사회의 통치기제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으로 고려시대 시간 질서가 당시 동북아시아 정치 단위체 사이의 세력 교체와도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서씨의 논문은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한국사연구’와 한국중세사학회, 역사학연구 등에도 게재됐다.

한편 서씨는 이번 논문을 포함해 올해만 모두 여섯 편의 논문을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발표했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소식에 누리꾼들은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발견하신 분 대단하시다”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고려시대에 물시계라니”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조상들의 지혜가 담겼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