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제가 수집했던 아시아의 문화유산, 그 실체는?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일제가 한반도 강점기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미술관 등을 통해 모았던 아시아 문화유산을 살펴보는 전시가 마련됐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오는 28일부터 내년 1월 11일까지 특별전 “‘동양東洋’을 수집하다-일제강점기 아시아 문화재의 수집과 전시”전을 연다. 일제강점기 박물관이 수집한 아시아 문화유산을 통해 그 자체가 갖는 의미는 물론 그것에 담긴 수집과 전시의 역사를 돌아보자는 취지로 마련한 행사다. .

국립중앙박물관이 설명한 이번 전시회의 키워드는 ‘동양’이다. 이에 따르면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은 스스로를 ‘동양 유일의 문명국’으로 생각했고 ‘낙후된’ 동양을 문명세계로 인도할 적임자라 자부했다. 일제는 승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아시아 각국의 역사를 해석하고 그것을 박물관에 담았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미술관이 수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문화재는 약 1600여 건으로 한대 고분 출토품부터 근대 일본미술까지 다양하다. 이 문화재가 어떤 맥락에서 수집되고, 또 어떤 맥락에서 전시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우리에게 ‘제시되었던’ 아시아의 모습을 돌아보고자 한다는 것이 국립중앙박물관의 말이다.

이번 전시회는 ‘동양’,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또는 아시아 전역을 가리키는 이 말이 근대 일본의 산물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동양이란 말이 13세기 중국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그 뜻은 중국(의 무역항 광저우)을 기준으로 동쪽의 바다를 의미했다. 그리고 여전히 중국에서는 이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 일본에서부터였다. 당시 일본은 유럽 열강을 ‘서양’으로 통칭했고 그것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동양’을 제시했다. 일본은 ‘동양’을 통해 자신들의 전통이 서구의 그것과 동일한 위치에 자리매김 되기를 원했다. 아울러 ‘동양’ 개념 속에는 이 지역에서 중국의 권위를 해체하고 자신들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는 의미도 담겨있었다. ‘동양’은 근대 일본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만든 단어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됐다. 제1부 “동아시아의 고대: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중국 베이징(北京), 만주, 일본 규슈(九州) 등에서 수집한 문화재를 전시한다. 제2부 “서역 미술: 조선총독부박물관 경복궁 수정전”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중앙아시아 소장품에 담겨있는 역사를 소개한다. 제3부 “불교조각: 이왕가박물관 창경궁 명정전”에서는 이왕가박물관에서 수집한 중국불교조각을 살펴본다. 제4부 “일본근대미술: 이왕가미술관 덕수궁 석조전”에서는 이왕가미술관에서 수집하고 전시했던 일본근대미술을 통해 그것이 갖는 의미를 돌아본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오는 11월 14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리는 한국, 일본, 유럽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가 마련됐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