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성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 ‘세계가 일본 된다’ 출간
일본의 창으로 본 세계의 미래

일본 장기불황 원인과 전망을 방대한 데이터로 분석…‘전환형 복합불황’ 진단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전 세계에 불황의 그늘이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일본화(Japanization)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입니다.”

홍성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2일 ‘세계가 일본된다’ 제목의 책을 출간하며 “지금의 세계가 20여 년 전의 일본과 매우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홍 센터장은 이를 ‘전환형 복합불황’이라고 명명했다. 전환형 복합불황은 일본이 겪은 25년간의 장기 불황과 급속한 사회변동이 가져온 미래의 세계를 지칭한다.

그는 “지금까지 전환은 긍정적 의미로 많이 쓰였지만 이제부터는 반대다. ‘전환’의 의미는 성장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 ‘복합’은 경제뿐 아니라 정치·사회 등 모든 분야가 포함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사회 전반이 어려워진다는 얘기다.


홍 센터장은 “‘신4저(성장률·물가·투자·금리) 효과는 공통현상이며 갈등은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며 “지구는 낯선 세계로 나아가고 있는데도 과거형 대책이 남발되고 기득권과 이데올로기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베노믹스의 실패 가능성과 양적완화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전망도 담아냈다.

홍 센터장은 우리나라에 대해 “섬뜩할 정도로 일본과 유사하고, 사회현상과 위기에 대응하는 정책도 흡사하다”며 “지난 3~4년 사이 성장이 멈춘 갈등공화국이 됐다. 방향성을 상실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리더그룹의 미래 인식이 중요한데도 선진국 중에 한국은 복합불황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다고 꼬집었다.

그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한 최경환 부총리의 인식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관료들은 과거 경제위기 극복과정에서 성공했던 정책을 반복해서 시행하고자 한다”며 “(그간) 정책이 너무 성공적이었던 것이 이제는 전환형 복합불황에 대한 대응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모범사례는 일찌감치 국가와 국민이 ’새로운 행복‘으로 나아갈 방향을 조정한 독일과 북유럽 국가”라며 욕망과 소유의 축소를 추구하는 쪽으로 행복 방정식을 바꾸는 ’구조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제 과거는 지워야 한다. 과거의 성공 스토리는 미래에 써먹을 수 없다“며 ”오직 미래의 변화에만 집중해야 한다. 경제정책만이 아니라 모든 제도와 관행, 관습까지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 센터장은 서강대 정외과를 졸업하고 대우증권에 입사해 투자분석부장, 기업분석부장, 홀세일사업부장을 거쳐 리서치센터장(부사장)에 올랐다. 저서로는 ‘디플레이션 속으로’, ‘글로벌 위기 이후’ ‘미래설계의 정석’ 등이 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