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일부 고위당국자 “北 고위급접촉 자체 번복하지 않을 것”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22일 2차 남북 고위급접촉 전망과 관련, “(북측이) 꼭 30일을 수용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4일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이 내려와서 제안하고 수용한 것 자체는 번복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응답을 줄지 안줄지는 솔직히 말해 저도 모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황 총정치국장과 최룡해 당비서, 김양건 당비서는 당연히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지시를 받고 내려온 사람들이고 고위급접촉을 10월말에서 11월초 하겠다는 것도 그 사람들만의 결정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다”며 “이는 북측의 최고 수뇌의 승인을 받고 한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판단과 결정이 안될 변수가 발생했다고는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전단 문제는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다”며 “북측이 최근 더 강하게 얘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단 살포 문제가 결정이 번복되는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우리측이 지난 13일 제안한 30일 고위급접촉을 갖자는 제안에 열흘 동안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지만 날짜는 변경되더라도 고위급접촉 자체가 무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둔 것이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대북 선전시설이라고 반발해온 경기도 김포 애기봉 전망대 등탑을 최근 철거한 것이 남북관계를 고려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정부가 북한의 눈치를 보거나 그렇게 하지 않는다”며 “북한이 무서워서, 북한이 두려워서 남북관계를 개선해야한다는 목표 때문에 국가의 격이나 위상을 떨어뜨리는 일은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마치 선물 주듯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며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이 남북관계 개선”이라고 말했다.

다만 “원칙만 너무 강조하다보면 유연성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조화롭게 그때그때마다 잘 배합돼야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아울러 대북전단 문제와 관련, “표현의 자유를 존중한다는 것과 막을 법적 근거가 없다는 정부 입장에서 변화된 것이 없다”면서 “다만 지역 주민들이 안전문제 때문에 예민하게 계시다는 점을 깊이 있게 주시하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