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하이닉스, 직업병 문제 해결방안 마련…산업보건검증위 운영키로

장재연 아주대 교수 위원장…시민단체 망라 외부전문가 7명ㆍ노사 4명 등 11명으로 구성

1년간 실태조사 등 위원회에 권한 일임…퇴직자에게도 건강검진ㆍ관련 전문인력 채용도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SK하이닉스는 외부 전문가와 노사 대표로 구성된 ‘SK하이닉스 산업보건검증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삼성전자 등 반도체 업계에서 잇달아 제기되고 있는 백혈병 등 직업병 문제와 관련해 구체적 해결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 보건과 관련된 종합적인 진단ㆍ자문에 나설 이 위원회는 외부 전문가 7명과 노사 대표 4명(노동조합ㆍ회사 측 각 2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됐다. 외부인사로는 장재연 아주대 예방의학교실 교수가 위원장으로 추대됐다.

화학물질ㆍ작업 환경의 검증과 개선, 임직원 보건 관리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박동욱 한국방송대 환경보건학과 교수, 권호장 단국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김형렬 가톨릭대 보건대학원 교수, 이혜은 가톨릭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또 생산 인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 임직원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강희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위원회 활동의 법률적 검토ㆍ지원을 위해 김호철 법무법인 한결 변호사 등 시민단체 인사들도 위원회에 포함됐다.

위원회는 10월 중순부터 앞으로 1년간 작업 환경 실태 조사, 직업병 의심 사례를 비롯한 산업 보건 진단에 나설 계획이다. 이 과정을 통해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노출량 파악과 위해성 평가 등을 실시하고 과거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역학조사와 작업환경 연구 이후 개선된 사항에 대해서도 재점검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당초 5개월 가량 실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보다 더 정밀한 조사를 위해 기간을 1년으로 확대했다. 조사 후에는 진단 결과를 대내외에 공유하고 도출된 개선 사항을 단계별로 이행할 계획이다.

임직원의 건강관리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반도체 공정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검진 대상자에게는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검진항목 외에도 1급 발암성 병원체 검사, 암유전자 검사 등 10여 종의 암 검진 항목을 추가해 내년 건강검진부터 시행한할 계획이다.

또 오는 12월 중에는 ‘건강지킴이 콜센터’를 사내에 열고 퇴직자를 포함한 전ㆍ현직 임직원이 방문 또는 전화를 통해 자유롭게 본인의 건강에 대해 상담하고, 사내 병원은 물론 외부 병원과 연계해 건강관리를 지원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또 어려움에 처해있는 전ㆍ현직 임직원들의 경ㅇ 치료비와 위로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반도체 공정에서 근무하는 협력사 임직원들에게도 SK하이닉스 임직원과 동일하게 10여종의 암 검진을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

이 밖에 SK하이닉스는 산업 보건의ㆍ산업 환기ㆍ화학물질 위험(위해)성 평가ㆍ역학(보건 통계)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채용도채용할 계획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