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양희 미래부 장관 “의원들 도움으로 단통법 제정 시행”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아이디어의 창출을 넘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이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창조경제생태계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겠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13일 국정감사 인사말을 통해 ‘창조경제’의 본격적인 성과 창출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미래부가 출범한지 1년 반의 시간이 흐른 지금, 창조경제 실현의 선도부처이자 과학기술-ICT 진흥의 주무부처로 소임을 다하고 있다는 의미다.

최 장관은 이 자리에서 “창조경제타운이 개설된 이래 제안된 우수 아이디어가 사업화와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사업 연계를 강화했다”며 “정부ㆍ민간 창업지원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장하는 창조경제 지역 생태계 조성의 핵심 열쇠다. 수도권에 집중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이 전국 곳곳으로 확산 될 수 있도록 대전과 대구를 비롯해 내년 상반기까지 17곳에 창조경제혁신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최 장관은 특히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개인과 중소기업이 자금, 판로, 경험을 갖춘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성장하도록 기업 전담 지원체계를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과 ICT 융합을 기반으로 한 ‘역동성 제고’ 노력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최 장관은 “신시장 창출과 사회적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비타민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파급효과가 큰 융합기술을 발굴해 사업화를 동시 지원해 새로운 산업 창출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 실현 전략’에 대해서는 SW교육을 초ㆍ중ㆍ등 정규교과에 포함하도록 했고, 내수 중심의 SW시장 확대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최 장관은 “SW 산업계의 고질적인 불공정 발주와 대기업이 중소기업 기술을 탈취하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공정 거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시행했다”고 말했다.

민간의 자율과 창의가 마음껏 발휘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하는 행보에도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최 장관은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저해하는 해묵은 규제 개선을 위한 범부처 TF를 주도적으로 구성ㆍ운영하는 등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논란이 커지고 있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에 대해선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다만 최 장관은 “미방위 위원님들 도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의 지급이 불투명해 이용자가 차별받는 광행을 바로 잡는 관련 법률을 제정해 시행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행 이후 야기되는 문제점들에 대해선 입을 닫았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