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슈퍼리치-이슈]‘숨막히는 테크워’, 빌 게이츠 귀환 MS, 클라우드만큼은 질수 없다
[특별취재팀=성연진ㆍ윤현종ㆍ민상식] 모바일메신저 1위 왓츠앱은 지난 2월 190억 달러에 페이스북에 인수됐다. 페이스북이 인수를 시도한 이스라엘 소셜지도앱 웨이즈(waze)는 구글로 갔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이 군침을 흘리던 블로그 텀블러는 야후 품에 안겼고, MSㆍ구글ㆍ페이스북이 일제히 러브콜을 보내던 스냅챗은 최근 알리바바마저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오늘날 테크 부호들의 성공과 실패는 이처럼 웹상에서 하나로 연결된 사용자들이 커뮤니케이션을 어떤 플랫폼 아래에서 하느냐가 좌우한다. IT 거물들이 로봇이나 무인자동차, 홈 자동화 소프트웨어 회사에 투자를 하는 것도 훗날 다가올 만물인터넷 세상에서미리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함이다.

국내 빌리어네어 IT 부호 가운데 자수성가형은 김정주 넥슨대표(17억 달러, 포브스 기준), 이해진 네이버 의장(13억 달러), 김택진 NC소프트 대표이사(10억 달러) 등 3명으로 압축된다. 네이버가 연내 해외 상장을 미루긴 했지만, 일본 언론은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 미국과 일본 증시 상장시 기업 가치가 10조 원 이상 될 것이라 평가한 바 있다. 다음카카오의 경우 오는 10월1일 출범하면 시가총액이 10조 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다음카카오의 2대 주주는 720억원을 투자한 중국의 텐센트다. 업계에선 뉴욕 증시에 화려하게 데뷔한 알리바바가 한국의 인터넷 게임 사업에 투자할 가능성도 높게 점치고 있다.

내년엔 구글이 스타트업 기업을 키우기 위한 ‘구글 캠퍼스 서울’을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 세운다. 영국 IBM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게리 라일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만물 인터넷에는 통신망, 기기, 서비스가 모두 필요해 열린 파트너십과 열린 혁신이 성공을 좌우한다”고 했다. 한국은 얼마나 새로운 것에 대해 열려있는 지, 구글ㆍMS,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공룡들의 최근 움직임을 보는 것이 앞으로 다가올 플랫폼 전쟁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MS 빌게이츠와 인수기업

■빌게이츠의 자존심, 혁신으로 재무장하다=‘모바일 우선, 클라우드 우선’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MS)의 최고경영자(CEO)에 오른 사티아 나델라는 취임 직후 MS의 비전을 이렇게 제시했다. 이사회 의장 자리에서 물러난 창업자 빌 게이츠에게 구호 메시지도 보냈다. 게이츠는 5년만에 MS에 복귀했다.

세계 최고 부호 빌 게이츠의 MS(윈도우)가 스마트폰 시대에서 구글(안드로이드)과 애플(iOS)에 수모를 겪을 것이라고 예측한 이는 없다. 그러나 윈도우는 양강 구도에 확실히 밀렸고, 게이츠는 다시 출근을 시작하게 됐다.

MS는 혁신으로 재무장하기 시작했다. 스타트업 기업들의 인수 합병이 이뤄졌다.

MS는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13개 기업을 인수했다. 모두 안드로이드에 익숙한 유저를 윈도우로 끌어오는 데 디딤돌이 될 곳이다.

그 가운데 지난해 1월 인수한 홈 자동화 관련 기업인 ‘id8그룹R2스튜디오스’의 경우, 애플과 구글도 탐내던 곳이었다. 오디오와 홈 시어터를 비롯해 조명이나 온도, 보안 등을 자동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업체인 이 곳의 플랫폼으로 윈도우를 활용하겠다는 게 MS의 밑그림이다.

지난해 9월 노키아 인수도 노림수는 같다. MS가 내놓은 ‘노키아X’라는 저가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되, 서비스는 구글이 아니라 MS의 웹서비스를 이용토록 했다. 구글 플레이와 구글 스토어는 접근을 못한다. 안드로이드의 사용 자체는 무료이기 때문에 이메일이나 클라우드, 검색 등 구글 서비스를 MS에서 이용토록 한 술책은 궁극적으론 윈도우폰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장치로 풀이된다.

모바일보다 더 신경을 쓰는 것은 바로 클라우드다. 스마트폰 시대를 예견하지 못한 뼈아픈 실책을 클라우드에서만큼은 반복할 수 없다는 의지다. 당장 MS의 세번째 CEO에 오른 나델라는 클라우드 부서의 부사장이었다.

나델라가 방한 후 특허 분쟁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난 것도 바로 MS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 때문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장 많이 쓰는 곳 중 하나다.

게다가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체계를 이용하지만, 여전히 윈도우 PC와 태블릿을 판매하고 있다. 플랫폼 1위를 고수하고픈 구글에게는 물론, MS에게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파트너인 셈이다.

클라우드를 향한 MS의 의지는 올 들어 MS라인에 넣은 6개 회사 가운데 5개 사가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업체란 데서도 드러난다.

우선 올초 자사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등을 연동시켜 고객 관리를 도와주는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패러추어(parature)를, 5월에는 고성능 빅데이터를 처리해 애저의 속도 등을 높여줄 뉴질랜드의 그린버튼(Greenbutton)을 인수했다. 

테크 M&A 관계도

이어 멀티 모바일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프랑스의 캡틴(capptain)을 애저에 통합시킨 한편, 애저 플랫폼 하에서 게임 유저들에게 비주얼 스튜디오를 제공할 프랑스의 신택스트리(syntaxTree)도 MS로 편입했다. 애저 클라우드의 백업 및 복구 서비스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미국의 데이터 복구 서비스 업체인 인메이지(inmage) 인수도 나섰다.

앞서 위치정보 서비스 스타트업 기업인 포스퀘어에 1500만 달러 투자에 나선 것도 결국은 이 데이터를 검색 엔진과 윈도폰 등에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확보’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MS의 현금성 자산은 현재 840억 달러로 추정된다. 지난 17일 블룸버그 기준 빌 게이츠의 개인 자산은 862억달러. MS는 아직도 ‘혁신’을 사들일 여력이 충분하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