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슈퍼리치-이슈]‘숨막히는 테크워’, 구글 래리페이지 플랫폼 1위 지켜낼 수 있을까
[특별취재팀=성연진ㆍ윤현종ㆍ민상식] 모바일메신저 1위 왓츠앱은 지난 2월 190억 달러에 페이스북에 인수됐다. 페이스북이 인수를 시도한 이스라엘 소셜지도앱 웨이즈(waze)는 구글로 갔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이 군침을 흘리던 블로그 텀블러는 야후 품에 안겼고, MSㆍ구글ㆍ페이스북이 일제히 러브콜을 보내던 스냅챗은 최근 알리바바마저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오늘날 테크 부호들의 성공과 실패는 이처럼 웹상에서 하나로 연결된 사용자들이 커뮤니케이션을 어떤 플랫폼 아래에서 하느냐가 좌우한다. IT 거물들이 로봇이나 무인자동차, 홈 자동화 소프트웨어 회사에 투자를 하는 것도 훗날 다가올 만물인터넷 세상에서미리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함이다.

국내 빌리어네어 IT 부호 가운데 자수성가형은 김정주 넥슨대표(17억 달러, 포브스 기준), 이해진 네이버 의장(13억 달러), 김택진 NC소프트 대표이사(10억 달러) 등 3명으로 압축된다. 네이버가 연내 해외 상장을 미루긴 했지만, 일본 언론은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 미국과 일본 증시 상장시 기업 가치가 10조 원 이상 될 것이라 평가한 바 있다. 다음카카오의 경우 오는 10월1일 출범하면 시가총액이 10조 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다음카카오의 2대 주주는 720억원을 투자한 중국의 텐센트다. 업계에선 뉴욕 증시에 화려하게 데뷔한 알리바바가 한국의 인터넷 게임 사업에 투자할 가능성도 높게 점치고 있다.

내년엔 구글이 스타트업 기업을 키우기 위한 ‘구글 캠퍼스 서울’을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 세운다. 영국 IBM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게리 라일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만물 인터넷에는 통신망, 기기, 서비스가 모두 필요해 열린 파트너십과 열린 혁신이 성공을 좌우한다”고 했다. 삼성전자 등 한국기업은 얼마나 새로운 것에 대해 열려있는 지, 구글ㆍMS,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공룡들의 최근 움직임을 보는 것이 앞으로 다가올 플랫폼 전쟁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구글 래리페이지와 인수기업

■래리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에릭슈미트 구글 3인방의 선택은=구글 2004년 기업공개(IPO)를 하던 당시 구글의 시가총액은 230억달러였다. 10년이 지난 올해 시가총액은 4000억달러를 넘어서 17배 이상 뛰었다.

10년간 구글을 이끌어온 래리 페이지 구글 최고경영자(CEO)와 세르게이 브린 구글 공동창립자, 에릭 슈미트 구글 이사회 의장의 자산도 급증했다. 이 세 사람의 자산은 이달 17일 블룸버그 기준 각각 324억달러와 322억달러, 90억달러에 이른다.

IPO 당시 온라인 검색 광고가 유일한 수익원이었던 구글은 끊임없는 인수ㆍ합병(M&A)을 통해 개인용컴퓨터(PC), 모바일, 자동차,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구글은 유망 기업 인수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실제 구글이 2001년부터 현재까지 인수한 기업은 168개에 달한다. 구글의 M&A 중 가장 큰 성공사례는 안드로이드를 꼽을 수 있다. 2006년 단돈 5000만달러에 당시 22개월밖에 안된 스타트업 안드로이드를 인수해 현재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삼성 스마트폰이 많이 팔리면서 구글 안드로이드 진영은 더욱 견고해졌다.

구글의 M&A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구글은 지난해 18개 기업을, 올해 들어 이달 말까지 29개의 기업을 삼켰다. 구글은 그간 충분한 실탄을 확보해 놔 구글의 M&A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미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구글의 현금성 자산은 587억달러에 달하며, 이 가운데 336억달러가 해외에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테크 M&A 관계도

구글의 최근 M&A 명단을 보면 가장 큰 특징은 영역 파괴다.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구글 M&A 거래 47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구글의 사업영역은 무인자동차, 로봇, 의료기기, 바이오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최근 인수 기업 중에는 디자인 회사(게코 디자인)와 레스토랑 웹사이트 구축을 돕는 업체(에피타스)도 있다.

결국 구글의 궁극적인 목표는 ‘만물인터넷(IoEㆍInternet of Everything)’이다. 스마트폰을 넘어 스마트안경, 스마트홈, 스마트로봇 등 다양한 영역을 선점해 ‘구글 월드’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PC와 스마트폰에서 했듯이 ‘IoE OS’를 선점하기 위해 관련 업체를 인수하고 있다. 실제 구글은 올해 1월께 IoE 분야 스타트업으로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만드는 ‘네스트랩스’를 손에 넣었다. 구글은 이 업체와 결합해 안드로이드 OS를 가정용 자동에너지 시스템에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은 특히 스마트폰 이후 새로운 성장동력을 로봇으로 판단하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12월 한달간 샤프트, 메카 로보틱스 등 8개 로봇 관련 업체를 인수해 관련 업계를 놀라게 했다. 구글이 인수한 이들 로봇업체들은 로봇 팔이 물건을 정교하게 쥐는 기술 등에 특화된 기업들이다.

올해 1월에는 영국의 인공지능개발 신생업체 딥마인드를 인수하면서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에 착수하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2월 온라인 마케팅업체인 채널 인텔리전스,올 5월 온라인 상거래 재고관리 분석서비스업체 레인지스팬을 인수하는 등 온라인 쇼핑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반면 국내 인터넷 포털 1위 기업 네이버는 최근 오픈마켓 서비스 ‘샵N’을 정리하는 등 온라인 상거래를 두고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구글은 무인자동차 기술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이후 M&A 거래 47개 기업 중 14곳이 구글엑스(Google X) 부서에 합류했다. 구글엑스는 무인자동차, 구글글래스 등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곳이다.

구글의 신경망 연구조사업체 디앤앤리서치, 동작인식 업체 플러터 인수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예컨대 웹캡을 이용해 동작을 인식하는 기술을 구글 글래스와 무인 자동차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m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