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년동안 ‘가족’이 달라졌다
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고령화 · 만혼 등 복합적 영향…1~2인 가구 큰폭으로 증가


최근 20년간 1~2인 가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4~5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가족구조가 급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정책연구본부 김유경 연구위원의 ‘가족변화양상과 정책 함의’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주의화와 급격한 고령화 및 저출산 현상, 만혼화, 이혼율 증가 등 복합적 영향으로 가구규모가 계속 줄고 있다.

가구규모별 변화 형태를 살펴보면 1990년에는 1인 가구 9.0%, 2인 가구 13.8%, 3인 가구 19.1%, 4인 가구 29.5%, 5인 이상 가구 28.7% 등이었다. 하지만 20년이 흐른 2010년에는 1인 가구 23.9%, 2인 가구 24.3%, 3인 가구 21.3%, 4인 가구 22.5%, 5인 이상 가구 8.1% 등으로 바뀌었다. 20년 사이에 1~2인 가구는 22.8%에서 48.2%로 급증했고, 4~5인 가구는 58.2%에서 30.6%로 줄어들었다. 가구규모뿐 아니라 세대구성별 가구도 최근 20년간 확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단순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1990년과 2010년을 비교했을 때 1세대 가구는 10.7%에서 17.5%로 늘어났으나 2세대 가구는 66.3%에서 51.3%로, 3세대 이상 가구는 12.5%에서 6.2%로 떨어졌다.

이처럼 가족유형이 1인 가구와 부부 및 미혼자녀로 구성된 1~2세대 중심의 핵가족 형태에 집중되는 것은 가족 가치관과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조사 결과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1998년 33.6%에서 2012년 20.3%로 줄었다. ‘자녀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비율도 1997년 73.7%에서 2012년 46.3%로 급격히 추락했다. 부모 부양관도 변했다. 부모부양은 가족의 책임이라는 인식은 1998년 89.9%에 달했으나 2012년 들어서는 33.2%로 크게 떨어졌다.

허연회 기자/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