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대통령 “정부가 녹색투자 이끌어야”
기후정상회의 재정세션 주재
“민간부분 투자여건 조성 통해
일자리 창출 기회로 만들어야”
녹색기후기금 지원1억弗로 확대

[뉴욕=홍성원 기자] 제69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민간부문이 불확실성 때문에 녹색투자를 망설일 때 정부는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보내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투자여건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회의장에서 열린 기후정상회의의 기후재정 세션에서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과 공동의장을 맡아 모두발언을 통해 “민간투자에 대한 정부의 촉매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후재정 세션은 영국ㆍ프랑스 등 7개국 정상, 유엔사무총장, 세계은행 총재 등 국제기구 대표가 참석해 기후변화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ㆍ민간 재원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개회식에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기조연설을 해 한국인 출신 3인이 의장단석에 나란히 착석해 주목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기후재정 세션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가장 진전이 더딘 분야”라며 “기후변화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도전을 새로운 가치와 시장,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내년 1월부터 아시아국가 최초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한다고 소개하고, “이런 정책이 민간자본의 녹색투자를 유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정이 부족하고 시장과 기술의 발전이 미흡한 개도국들을 지원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뒤 “중추적 재원매커니즘으로 녹색기후기금(GCF)이 창설됐고, 작년 12월 한국에서 GCF 사무국이 출범했다”고 소개했다.

GCF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세워진 국제금융기구로 우리나라가 인천 송도에 유치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한국은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지원하고 GCF의 성공적인 정착과 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해 GCF에 대한 기여를 총 1억달러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날 오전 영어로 진행한 기후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도 이런 규모의 GCF 기여확대 계획을 밝혔다.

유엔 측은 이날 약 200억달러 수준의 GCF 초기재원이 공약됐다고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기후재정 세션에 이어 열린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직 교대 행사에도 참석했다. GGGI는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을 위해 2012년 출범한 국제기구로 서울 정동에 사무국이 있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전 덴마크 총리가 지난 2년간 의장을 맡았고, 이번에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새 의장이 됐다.

박 대통령은 환영사에서 “한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대응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이것이 한국이 GGGI 설립을 주도했던 이유”라며 “GGGI가 신뢰받는 동반자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기후변화 대응 관련 회의에 잇따라 참석한 것을 두고 “환경 분야에서 전 지구적 도전과제이자 경제ㆍ사회적 핵심의제인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우리나라의 주도적 역할과 개도국에 대한 기여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좋은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연쇄 회의 속에서도 시간을 내 이집트, 우간다, 스페인 정상들과 회담해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