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0%대로 떨어진 실질임금 상승률…구매력 저하로 이어져…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 상승률이 5분기 연속 낮아지다가 급기야 0%대로 떨어졌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올 정도로 물가상승률이 둔화됐는데도 실질임금이 제자리 걸음을 한 것은 그만큼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속도가 더디다는 의미다. 근로자 임금 인상이 더디니 가계 소비 역시 주춤할 수밖에 없다.

24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77만 2643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276만 7830원보다 4813원(0.2%) 증가했다.

이런 증가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한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제거한 것으로,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보여준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작년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 등 5분기 연속 낮아졌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상승률이 1%대로 떨어지는 것은 물론 3분기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올해 상반기 실질임금 상승률(0.99%)은 0%대로 낮아졌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된 것은 표면적으로는 기업들이 성과급ㆍ상여금 등 특별 급여 인상 폭을 크게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분기 실질임금 기준 특별급여는 월평균 33만190원으로, 1년 전(36만9564원)보다 10.7% 줄었다.

노동시간이 비교적 짧고 저임금인 시간제,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노동시장 구조가 바뀌고 있는 것도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하면 일자리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구당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여기에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아예 뒷걸음질쳤다. 이들의 임금은 지난 2분기 월평균 125만3769원으로 1년 전(127만2085원)보다 1만8316원(1.4%) 줄었다. 임시직 근로자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0년 4분기(-7.3%) 이후 3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같은 기간 상용직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0.5% 올랐다.

okidok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