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태용 디자인진흥원장 “디자인이 이젠 사회안전ㆍ범죄예방에 기여”
“공공서비스 수요자 중심 혁신…기업들도 ‘디자인주도 R&D’ 눈떠야”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디자인은 안전 사고와 폭력, 범죄를 예방하고 복지나 교육수준을 향상시키는데도 일조합니다.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단계죠.”

이태용 한국디자인진흥원장이 말하는 현재 디자인의 위상이다.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서비스디자인’의 사회적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이란 공급자 관점이 아니라 수요자 관점의 공공디자인을 통해 공공서비스 자체를 혁신하는 것이다. 선진국들은 오래 전부터 디자인 주도로 사회문제를 개선하는 ‘사회문제 해결 디자인’에 공을 들여 왔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안전사고, 집단폭력, 범죄 등의 문제도 디자인적 요소가 결합되면 상당부분 예방ㆍ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나아가 공공복지, 교육수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가 그 바탕이다. 

이태용 한국디자인진흥원장이 17일 성남시 분당의 본사에서 디자인의 부가가치와 함께 공공분야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박현구 기자/phko@heraldcorp.com]

이 원장은 17일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연구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개선하고, 그 과정을 디자인해 사회혁신을 이루며 사회문제 해결과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각종 폭력과 안전사고로 얼룩진 우리 사회도 이에 대해 고민하고 적용을 적극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시민 170여명이 참여한 ‘정부3.0 국민디자인단’이 지난해 발족돼 각 정부부처의 19개 정책과제가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되고 있다. 일례로 관리비 고지서 재디자인만으로 10%이상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었다고 이 원장은 소개했다.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산업단지에도 서비스디자인 사례로 올해 시화공단에 처음 시범 적용됐다. 


기존의 관리ㆍ감독 중심으로 설계돼 있던 관리시스템을 근로자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감안해 재설계함으로써 근로자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냈다. 특히 급증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문자보다 쉽게 알 수 있는 시각화된 표식이나 경고표시를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변경했다. 그 결과 작업장의의 고질적 재해인 추락, 전도, 협착 사고 등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활동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기법을 활용, 알기 쉬운 건강검진 결과표, 재래시장 활성화 디자인 등도 시도됐다. 범죄와 학교폭력 예방, 병영문화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고객이 느끼지 못하는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제공하는 게 디자인”이라며 “학교 공간의 디자인적 변경, 비무기체계 재디자인, 가로등 밝기조절 등 심리적 안정요인을 찾아내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경우 기존 문제점이 해소된다는 사실은 여러 실증적 분석으로 밝혀졌다”고 소개했다. 


 한계에 부딪힌 전통시장 활성화도 디자인적 사고로 접근하면 해법이 나올 것이란 기대가 높아졌다. 정부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마트에 비해 불편하다는 이유로 전통시장 이용객은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다. 

어디서 무엇을 파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시장지도를 만들고, 상점별 품목들이 상징화된 그래픽이 그려진 컬러봉투만으로 어디서 무엇을 샀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간단한 개선노력이다. 서울 망원시장에 시험 적용을 앞두고 있다. 

한국의 이런 노력을 알게 된 태국은 디자인진흥원과 서비스디자인 공동 시범사업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향후 태국은 철도디자인, 역사 개선사업을 비롯해 고령인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각종 공공서비스의 경우 많은 돈은 들였지만 공급자 위주(편의)로 제공돼 수요자에게는 의미없는 것이 되고 만다”며 “설계 때 디자이너가 참여해 동선, 색상, 위치 조정만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우리 기업들에 대해서도 ‘디자인주도 연구ㆍ개발(R&D)’을 역설했다. 중국의 추격과 선진국과의 격차 확대라는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 산업계가 경쟁력을 확보할 마지막 수단이 디자인이란 것이다. 디자인진흥원은 이를 위해 ‘기업디자인혁신지원단’을 대전에 설치했으며, 경남 양산에는 ‘디자인리서치센터’를 올해 안에 설립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디자인은 기술 R&D 2배의 부가가치와 3배의 매출효과를 창출하는 지식집약형 고부가가치산업”이라며 “기술이 발달할수록 디자인 수요도 늘어나는데, 고기능 제품군에서 디자인R&D가 이뤄진 제품에 소비자의 추가 지불의향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잘 말해준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국내외 최신 디자인 우수제품 2,000여점이 전시되는 종합 디자인비즈니스 전시회 '디자인코리아(DK2014)'를 오는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다.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