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低물가 언제까지…수입물가 4년10개월만에 최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국내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는 수입물가가 6개월 연속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상승했지만 국제 유가가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8월 수출입 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원화 기준 수입물가 지수(2010년 100 기준)는 94.16으로, 전월보다 0.8% 떨어졌다. 지난 3월 -0.5%, 4월 -2.5%, 5월 -1.7%, 6월 -0.1%, 7월 -0.5% 등에 이어 6개월째 하락세다.

특히, 지난달 수입물가는 지난 2009년 10월의 93.28 이후 4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김민수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월평균 원/달러 환율은 전월보다 0.5% 상승했지만 7월에 배럴당 106.13달러(두바이유 기준)이던 국제 유가가 8월에는 101.94달러로 3.9% 떨어지면서 수입물가가 하락세를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원재료 수입가가 2.1% 떨어졌고 중간재(-0.2%), 자본재(-0.1%) 등도 하락했으나 소비재는 0.1% 올랐다.

품목별로는 원유(-3.4%), 옥수수(-7.5%), 콩(-2.9%) 등의 하락폭이 컸다. 쇠고기(2.9%), 냉장어류(6.0%) 등은 올랐다.

달러화 등 계약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를 기준으로 한 수입물가도 전월보다 1.8% 떨어졌다.

지난달 원화 기준 수출물가는 환율 영향으로 전월보다 0.1% 올라 2개월 연속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비스코스직물(6.6%), 복사기(1.3%), 메모리반도체인 DRAM(2.6%) 등의 오름폭이 큰 편이었다. 휘발유(-8.3%), 신선 어패류(-2.7%) 등은 하락했다.

원화 기준 수출물가가 오르면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1년 전과 비교한 수출물가는 8.6% 낮은 상태다.

8월의 계약 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보다 0.2% 하락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