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씨티, 韓부채 우려는 과도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 우리나라의 부채에 대한 우리의 우려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한국의 가계ㆍ기업ㆍ정부 등의 총부채가 1990년대부터 크게 늘어났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 비해 부채 수준은 여전히 낮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기관(가계, 기업, 정부) 총레버리지 비율이 1991년 125%에서 2012년에는 230%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1991년 GDP 대비 가계 및 정부 부채비율은 40%와 3.1%였으나, 2012년에는 86%와 35%로 각각 상승했다.

씨티그룹은 그러나 한국 비금융기관 총레버리지 비율은 OECD 주요국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수준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2012년 27개 OECD 국가의 GDP 대비 비금융기관 총레버리지 비율 평균이 271%인데 반해 한국은 230%로 이를 밑돌고 있다.

정부(GDP의 35%)와 기업(109%) 부채비율은 OECD 평균치(82%와 121%)를 하회한다. 다만 가계 부채비율(86%)은 OECD 평균치(69%)를 웃돌고 있다.

씨티그룹은 가계부채도 관리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면서, 가계부채 위험이 금융 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부채 부담의 70%를 상위 40% 소득계층이 지고 있는 점, 최근 소득증가율이 부채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는 점이 예상의 근거다.

다만 저소득ㆍ고령층ㆍ자영업자들의 DSR(소득대비 원리금상환 비율)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가계소득 증가율 유지 및 질 좋은 고용창출 등이 가계부채 위험 완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