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캠벨 전 차관보 “한반도 평화통일이 동북아 전략적 이익 돼”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한국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국가 대부분이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자신의 전략적 이익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커트 켐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밝혔다.

캠벨 전 차관보는 4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대부분의 동북아 이해당사자들 사이에서 한반도의 통일이나 통일을 향한 평화적 움직임이 그들의 전략적 이해에 가장 부합한다는 광범위하고 지배적인 판단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과거에는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분단 상태가 동북아의 전략적 이해에 가장 맞는다는 생각이 있었다”면서 “그런 생각이 이제는 더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첫 임기 때 ‘아시아 회귀’ 정책을 주도했던 캠벨 전 차관보는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후 기존의 행동 원칙은 더이상 작동하지 않는다”며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북한을 대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지금 미 정부의 고위직 인물 대부분이 기본적으로 어쩔 줄 모르는 상태”라며 “종종 ‘전략적 인내’를 말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시도한 많은 수단이 쉽게 말해 작동하지 않는다는 뜻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캠벨 전 차관보는 지금까지 “북한이 내부 개혁을 하거나 핵확산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넣는데는 분명히 성공하지 못했다”면서도 “북핵 6자회담 참가국을 하나로 묶어 놓는 데는 성공했다”고 자평했다.

한편 같은 토론회에 참석한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토머스 번 부사장은 “통일 과정에서 북한을 지원하면서 생길 수 있는 난기류(terbulence)를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한국 경제의 기초여건이 강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가 신용평가를 담당하는 번 부사장은 통일 과정에서 북한 지역이 “충분히 시장 경제로 이행할 수 있다면 통일은 ‘대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