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노조 내일 총파업> 勞 “산재한 투쟁동력 집중할 터” 使 “명분없는 총파업”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 금융노조가 총파업 투쟁 동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사용자 측은 명분없는 총파업이라며 차가운 반응을 보이고 있고 여론의 관심도 시들한 편이어서 투쟁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을지는 좀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부별 현안이 산재한 상황이다. 경영진 갈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KB금융, 민영화를 앞둔 우리은행,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조기 통합 선언으로 노사가 대립중인 하나금융, 외국계은행의 점포 축소에 따른 구조조정, 금융공기업 재편 등이 그것이다.

금융노조는 아울러 ▷임금 6.1% 인상 ▷정년 60세 연장 ▷통상임금에 상여금ㆍ보너스 포함 ▷여성할당제 정착 ▷비정규직ㆍ무기계약직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는 지난 4월 이후 3개월간 총 18차례 교섭에 나섰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후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도 최종 결렬됐다.

금융노조는 이런 각종 이슈의 공통분모를 ‘관치금융’으로 정하고 조합원의 결집을 유도 중이다. 특히 노조 집행부는 박근혜 대통령과 최경환 경제부총리, 금융당국 고위층, 야당을 잇따라 접촉하면서 여론을 환기시키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이번 총파업으로 국민들에게 피해가 어느 정도 돌아갈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나 관치금융의 폐해를 알리고 이를 없애면 결국 금융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파업의 정당성을 알리면서 국민의 공감대를 얻는 게 최우선 과제라는 설명이다.

정부와 사용자 측의 반응은 싸늘하다. 정부는 자율적인 추가 노사협상을 촉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측은 금융산업 악화 등의 이유로 노조의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여론의 관심은 시들하다. 그들만의 파업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성장 시대를 맞아 노조 주장이 국민의 피부에 와닿을지 미지수다. 그들만의 ‘생존 파업’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국가 경제의 대동맥인 금융업무가 멈추게 될 경우 노조에 역풍이 우려된다. 노조 관계자는 “조합원이 파업에 동참하더라도 업무가 마비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현재 파업 방식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측의 다른 관계자는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데, 사용자 권한 밖의 요구사항을 노조가 내세우고 있다”면서 “특히 정치적 논리를 앞세워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