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슈퍼리치-럭셔리] 180조 명품산업의 절대강자들-①명품산업 1위, ‘LVMH’
[특별취재팀=홍승완 기자] 연간 180조원의 거대 산업이 있다. 금융위기와 글로벌 경기침체로 모든 산업이 뒷걸음질쳤던 2010~2012년에도 연평균 14.3%대의 나홀로 고성장을 지속해온 산업이다. 전망도 밝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이 산업에 향후 10년간 6억명의 새로운 고객들이 유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런데도 세계 경제규모 톱10인 한국은 단 1%도 점유하지 못하고 있는 산업이기도 하다.

바로 명품(Luxury) 산업이다. 

중국과 중동, 남미 등 신흥 국가들의 성장과 함께 세계 명품 산업의 급성장은 계속 이어지는 추세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딜로이트의 ‘세계 명품 글로벌 파워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75개 명품 기업의 2012년 회계연도(2012년 7월~2013년 6월) 총 매출은 무려 1718억달러에 달했다. 이들 75개 기업의 87%는 프랑스ㆍ이탈리아ㆍ스페인ㆍ스위스ㆍ영국ㆍ미국 6개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들이 2012년 세계 명품 매출의 90%를 차지했다.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명품산업이지만, 우리나라엔 여전히 그림의 떡이다. 대한민국은 연간 5조원 이상을 소비하는 명품 산업의 무시못할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공급자’로서의 역할은 극히 미미하다. 

명품산업을 단순히 허영을 사고 파는 산업으로만 보기에는 힘든 시대다. 명품 산업이 여느 산업에 비해 창조적이고, 부가가치도 높고, 효율적인 산업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는 명품산업을 통해 연 17만명의 고용이 창출되고 있고, 이탈리아의 빌리어네어의 55%는 명품 산업 종사자일 정도다. 

세계의 명품 산업을 쥐고 있는 빅플레이어들을 살펴봤다. 독보적 1위는 프랑스에 거점을 둔 LVMH 그룹이며, 2위는 세계적 보석 메이커인 리슈몽, 3위는구찌ㆍ보테가 베네타로 유명한, 케어링그룹이다. 이밖에도 초고가 시계브랜드를 보유한 스와치 그룹과 프랑스를 대표하는 초고가 브랜드인 에르메스, 이탈리아 대표 럭셔리 브랜드인 프라다 그룹,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킨 명품인 샤넬그룹이 세계 명품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그중 1위 LVMH를 살펴봤다.

◆글로벌 럭셔리 산업 독보적 1위, LVMH(Moët Hennessy - Louis Vuitton S.A)
=글로벌 럭셔리 산업의 독보적인 1위가 프랑스에 거점을 둔 LVMH 그룹이다. 지난해 매출 385억 달러에 80억 달러의 영업이익을 냈다. 한화로 39조원이 넘는 매출에 8조1000억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이다. 이익규모가 현대차와 맞먹는다. 

1987년, 패션 브랜드인 ‘루이뷔통’과 코냑제조사인 ‘모에&샹동 헤네시’가 합병하면서 탄생한 LVMH 그룹은,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가족 비즈니스’, ‘유럽 중심’이던 명품 산업을 ‘인터내셔널’ 산업으로 확대시킨 주인공이다.
현재 LVMH 그룹은 패션, 와인&음료, 향수&화장품, 시계&보석, 면세점&특수유통, 기타 등 6개 사업군의 총 66개 브랜드로 이뤄져있다. 

주축은 루이 비통(Louis Vuitton), 셀린느(Celine), 펜디(Fendi), 로에베(Loewe),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 지방시(Givenchy), 겐조(Kenzo) 등 15개 브랜드로 이뤄진 패션 사업 부문. 지난해 41억 달러가 넘는 영업이익이 패션 사업 부분에서 창출됐다. 

또 다른 한 축이 모에 샹동(Moët & Chandon), 돔 페리뇽(Dom Pérignon), 헤네시(Hennessy & Co) 등 24개 브랜드로 이뤄진 ‘와인&주류’ 섹터다. 프랑스를 원산지로 한 고급 코냑이나 샴페인 브랜드의 대부분은 LVMH그룹 소속이라고 보면 된다. 

위블로(Hublot), 테그 호이어(Tag Heuer), 제니스(Zenith), 쇼메(Chaumet) 등 고급 시계 브랜드, 불가리(Bulgari), 드 비어스(De Beers) 등 귀금속 브랜드 등도 역시 LVMH 소속이다. 

현재 그룹을 이끌고 있는 것은 베르나르 아르노(Bernard Jean Étienne Arnault) 회장 일가다. 그룹의 지분 46.5%를 보유하고 있다.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에서 가장 부자로 꼽힌다. 포브스가 평가한 베르나르 회장의 자산은 319억 달러로 세계 18위권이다. 

1949년 파리 태생의 그는 젊은 시절 금융, 부동산 투자로 번 돈을 기반으로 크리스찬 디올을 소유한 럭셔리 회사 ‘Financiere agache’를 손에 넣으면서 본격적으로 명품 산업에 뛰어들었다. 이후 LVMH 그룹의 설립 과정을 주도한 후, 1988년 외형 중심의 확대를 반대하는 모에 헤네시와 루이 비통 가문 오너들에 맞서 회사의 지분을 공격적으로 인수하고 경영권을 쥐었다. 그의 공격적인 성장 전략은 명품산업의 성장과 맞아 떨어져, 그의 취임 15년만에 그룹의 매출 규모는 5배 이상 커졌다.

LVMH그룹을 그저 ‘허영을 파는 회사’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시대에 맞게 지속적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요트와 호텔, 건축물 투자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루이비통 브랜드를 기반으로 호텔과 전용 제트기, 초호화 주택 내부의 인테리어와 가구, 생활용품 등을 일괄 공급하는 사업도 벌이고 있다.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