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본인인증 톱클래스…기술적 문제는 없다
한국 모바일 결제기술 수준은
비밀번호를 눌러 쇼핑하는 것은 기본이다. 나만의 패턴, 임의로 생성되는 그래픽 찍기 등 모바일 결제 안전을 담보하는 기술들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통신사는 물론, 소프트웨어 대기업과 신생 벤처기업까지 저마다 다양한 기술로 무장하고, 새롭게 열리고 있는 모바일 결제 시장에 뛰어든다.

모바일을 통해 이뤄지는 송금이나 물품, 서비스 구매의 핵심은 안전성이다. 그동안은 공인인증서가 국내에서 허용된 유일한 안전장치였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천송이 코트’ 발언 이후 정부는 다양한 인증 수단의 사용을 허가했다.

안심클릭, ISP 안전결제 등 PC기반의 서비스에 의존했던 지금까지 모바일 결제 기술 한계가, 바코드, QR코드 뿐만 아니라 NFC를 이용한 IC방식의 모바일 POS, 패이팔과 같은 P2P 결제까지 발전된 것이다.

최근 LG유플러스가 선보인 모바일 결제 솔루션 ‘페이나우 플러스’에는 디멘터 그래픽 본인 인증방식, ARS 본인 인증방식, 패스워드 본인 인증방식, 안전패턴 본인 인증방식, mOTP(mobile One Time Password) 본인 인증방식 등이 동원됐다.

디멘터 그래픽 인증은 매번 위치와 내용이 변경되는 이미지를 조합하는 방식이다. 실제 결제하는 사용자가 본인의 스마트폰으로만 확인, 인증할 수 있기에 도난이나 분실, 해킹 위험이 적다. 금감원의 보안성 심의에서도 간편 인증방법으로 인정받았다.

안전패턴방식은 3X3 배열에 지정한 패턴을 입력, 본인 확인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때 입력한 패턴은 암호화 해 스마트폰과 결제 중계자의 서버에 저장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결제과정에서 휴대폰 모델 등의 디바이스 정보가 서버로 전송돼 가입 시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디바이스 본인인증과 유심(USIM)인증 등이 추가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비밀번호 등이 유출된 경우라도 정확한 본인 폰이 아닌 경우 불법사용 시도로 간주해 본인 인증을 거절하기 때문에 안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위치기반 본인인증 서비스도 등장했다. 다날은 모바일 인증 기술과 로케이드의 위치추적 서비스가 연동된 ‘위치기반 모바일 인증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포스(POS)나 외국 ATM 등에서 발생하는 부정거래 시도를 사전 차단한다.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문이나 홍체 같은 생체 특성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 안전 기술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문의 경우 아이폰은 물론, 삼성 갤럭시S5나 팬택의 몇몇 제품들이 이미 스마트폰에 장착한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문인식을 결제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해킹이나 도난 등에 따른 부정결제 위험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며 “다만 지문인식이 가능한 시스템의 확산과 관련 법 제도 정비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은행이나 금융기관은 이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포스(POS)나 외국 ATM 등에서의 부정거래 시도에 대한 위험을 분석할 수 있고, 위치추적과 모바일 인증의 이중보안을 통해 금융사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국과 중국 등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사전결제를 통한 본인인증 안전성 확보’ 기술도 국내에 도입되고 있다. 벤처 기업 이게이트는 최근 세계 비자 및 마스터 카드를 대상으로 공인인증서나 액티브X가 필요없는 글로벌 신용카드 간편 결제 ‘AA간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AA는 전자상거래 과정에서 소액의 금액을 신용카드로 미리 결제해 결제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다.

신용카드 결제를 넘어 계좌간 직접 이채 기술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카카오는 15개 시중은행과 함께 충전식 선불형 전자지갑인 ‘뱅크월렛 카카오’를, 또 카드사와 함께 간편결제 서비스인 ‘카카오페이’를 이르면 다음달 선보일 예정이다. 뱅크월렛 카카오는 이용자가 가상 계좌를 개설해 50만 원까지 충전하고 카카오톡 지인들에게 하루 10만 원까지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