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의사도 의견분분한 ‘디스크 내장증’, 어떤 병이길래…다리통증 없는 허리병
[헤럴드경제] 회사원 김모(55)씨는 최근 지인들과 골프장을 다녀온 뒤 갑자기 허리가 아파 동네병원에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좀처럼 좋아지지 않아서 걱정이었다.

의자에 앉거나 서있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지고 걸으면 약간 완화되는 양상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똑바로 누우면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픈 증상도 나타났다.

그는 한 자세로 오래 눕기도 힘들어 엎드려 자거나 새우잠을 자야 할 정도라고 호소했다. ‘디스크내장증’을 의심하고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하니 정말 그랬다. 다행히 요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은 없었다.

디스크 내장증은 의학계에서도 참 애매모호한 병으로 알려진 질환이다. 척추외과 의사들 사이에서도 이런 병이 과연 존재하는가에 대해서 이견이 있는 상태다. 이 병의 존재를 인정하는 의사들 사이에서도 병명에 관해서 견해 차이가 있다. 디스크 내부에 고장이 났다는 의미에서 ‘디스크 내장증’이란 병명을 사용하기도 하고, 디스크의 성질이 변화된 병이라는 뜻에서 ‘디스크 변성’이란 병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의사는 디스크 내장증과 디스크 변성은 다른 병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어떤 의사는 수술적 치료를 주장하고 어떤 의사는 수술에 반대한다.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병이다. 한 척추외과 의사는 “디스크란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라며 “이 디스크가 튀어나와서 신경을 눌러 다리가 저린 병이 디스크 돌출증 또는 허리 디스크라고 부르는 병이다. 반면에 디스크 내장증이란 병은 디스크가 튀어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크 내부에 고장이 나서 요통을 초래하는 병”이라고 설명했다. MRI검사에서 돌출소견은 없고 단지 색깔이 검게 변화된다.

디스크 내장증은 초기에 운동이나 물리치료와 함께 통증을 줄여주는 약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1개월 이상 만성으로 가거나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은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요통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차단해주는 신경성형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급성 통증은 아니지만 만성으로 오랜 기간 통증이 지속되는 때에는 고주파 수핵 감압 열치료술로 치료할 수 있다. 1㎜ 정도 가느다란 고주파 주삿바늘을 통해 손상된 디스크 내에 약 80도의 고주파 열을 가해 찢어진 디스크 막을 열로 응고시켜 손상된 디스크 막을 아물게 해주는 치료법이다.

이 같은 비수술적 치료는 시술 시간이 10~30분 내외로 당일 치료와 당일 퇴원이 가능하다.

시간을 끌다 보면 증상이 좋아지는 경우도 많다. 시간을 끄는 동안 허리를 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한 허리에서는 허리로 가는 부담의 대부분을 근육이 감당하기 때문에 고장난 디스크로 가는 부담이 훨씬 줄어들어 요통이 완화된다. 허리가 약한 상태라면 시간이 흘러 디스크 내장증에 의한 통증이 줄더라도 약한 허리에 의한 요통이 계속될 수 있다.

비수술적인 치료로 효과가 없으면 수술적인 치료를 시도한다. 수술은 요통의 원인이 되는 고장이 난 디스크를 제거하고 내고정 금속과 뼈이식을 사용해 위, 아래의 척추뼈를 굳혀주는 척추유합술이다. 이때 복강경을 사용해 척추 앞쪽으로 수술할 수도 있고, 허리 뒤쪽으로 수술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스크 내장증과 같이 요통이 주증상인 병에서는 가급적 비수술적 치료를 충분히 시도해 수술을 피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