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서상범> 누구를 위한 파업인가
9일간의 여름휴가를 끝낸 현대자동차 노조가 파업 수순에 들어갔다. 지난 12일 임시대의원 대회에서 파업을 결의하고 14일 전체조합원 4만7000여명이 참가하는 찬반 투표를 했다.

그동안 찬반 투표에서 파업 관련 안건이 부결된 적이 없는 전례를 볼 때 파업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이로써 현대차 노조는 지난 1987년 출범 이후 2009~2011년을 빼고는 매년 파업에 돌입하게 됐다.

올해 파업의 가장 큰 원인은 통상임금을 둘러싼 사측과의 갈등이다.

현대차 노조는 한국지엠이 대법원 판결을 통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킨 사례를 들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노조가 지난해 3월 통상임금 관련 소송을 제기한 만큼 법원의 판결을 기다리자는 입장이다.

대법원의 판례 적용 확대냐, 재판 결과를 기다리느냐에 대한 선후 관계 판단은 잠시 접어두자.

문제는 과연 통상임금 적용이 현대차의 현 상황에 합당하냐는 것이다.

최근 글로벌 경쟁에 더해 싼타페 연비보상 문제, 커져가는 안티 현대 움직임 등 현대차를 둘러싼 경영환경은 최악이다.

노조가 예로 든 한국지엠은 잔업과 특근이 많지 않아 통상임금 확대로 인한 비용 부담이 적다. 상황이 악화되면 한국에서 철수해버리면 그만이다.

그러나 현대차는 사정이 다르다. 생산직 평균 연봉이 1억원 수준인 현대차는 통상임금이 확대되면 인건비 부담이 연간 2조원 가량 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파업까지 진행되면 하반기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곤두박질칠 수 밖에 없다. 지난해 여름 15일간의 파업으로 현대차는 1조원에 달하는 생산차질을 입었다.

더 큰 문제는 파업으로 인한 수천개에 달하는 현대차 협력사의 피해다. 벌써부터 현장에서는 현대차 파업으로 인한 손실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현대차 노조원들은 과연 이번 파업이 누구를 위한 파업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자신들에게 덧씌워진 ‘귀족노조’라는 낙인을 벗을 수 있길 바란다.

tig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