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들 ‘보신주의’ 탓에 中企만 저금리에서 상대적 소외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은행들의 보신주의 탓에 중소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저금리 혜택에서 소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재무건전성이나 신용등급 개선 여부와는 상관없이 대출금리나 만기, 담보 등에서 차별을 받아온 것이다.

11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시중은행의 신규대출 평균 금리는 4.4%로 금융위기 직후보다 1.25%포인트 떨어졌다. 은행의 신규대출 평균금리는 2008년말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조치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2009년 5.65%를 기록했던 신규 대출금리는 2010년 5.51%, 2012년 5.4%, 2013년 4.64% 등으로 하락했다.

대출 대상별로 대출금리가 균등하게 떨어진 것은 아니다. 신규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5.73%에서 3.94%로 1.79%포인트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대기업 대출금리도 5.61%에서 4.27%로 1.34%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5.65%에서 4.72%로 0.93%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금리 하락폭이 가계대출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금리 자체도 2009년에는 가계대출보다 낮았지만 지금은 0.08%포인트나 높다.

은행들이 금융위기 이후 대출 건전성에 치중하다 보니 재무구조나 수익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대출 금리를 높게 책정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 중소기업의 재무구조나 수익성은 오히려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의 경우 2009년에는 대기업 5.9%, 중소기업 4.5%로 대기업이 크게 앞섰다. 반면 작년에는 대기업 4.6%, 중소기업 4.1%로 격차가 크게 줄었다. 평균 신용등급은 대기업이 2008년말 3.45등급에서 작년말 3.78등급으로 떨어졌지만 중소기업은 4.8등급에서 4.39등급으로 오히려 올라 이 역시 격차를 줄였다. 심지어 전체 대출 중 부실대출 비중을 보여주는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대기업의 경우 2009년 0.9%에서 지난해 2.9%로 치솟았지만, 중소기업은 2.5%에서 2.1%로 낮아져 역전 현상까지 벌어졌다.

이는 STX, 동양, 웅진, 동부 등 재무구조가 나빠진 대기업이 속출한 반면, 부품, 소재, 장비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량 중소기업은 늘어나는 현실을 간과한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