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라크 위기 확산되면 올해 GDP 0.08%P 하락"
[헤럴드경제]미국의 이라크 수니파 반군 공습에 따라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될 경우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최대 0.08%포인트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국지적 위기 상태로 비화될 경우 유가가 3개월간 약 1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경제연구원 최성근 선임연구원과 홍준표 연구위원은 10일 낸 ‘이라크 공습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라크 공습에 따른 유가 상승 및 세계경제불안이 세월호 충격에서 채 못 벗어난 한국경제의 회복을 더욱 지연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의 이라크 공습을 △단발적 공습 △국지적 위기 △주변국 위기 확산 등 3단계 시나리오로 나눴다.


이번 사태가 단발적 공습에 그치면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국지적 위기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과거 전례에 비춰 유가가 3개월 간 약 10% 상승할 것으로내다봤다.

이 경우 올해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보다 0.03%포인트 하락하고생활물가는 0.14%포인트 상승(하반기 전망치는 각각 0.05%포인트 하락, 0.28%포인트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공습이 2008년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당시와 같이 주변국 위기 확산 사태로 번질 경우 유가는 6개월간 30% 내외로 상승하고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0.0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생활물가는 0.42%포인트 상승(하반기는 각각 0.15%포인트 하락, 0.8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종교적 신념을 중시하는 아랍 국가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라크 수니파 반군인 ‘이슬람 국가’(IS)에 대한 공습이 이후 시아파와 수니파 국가들의 개입과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최 선임연구원 등은 “하반기에도 세월호 충격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라크 공습에따른 유가 충격이 더해질 우려가 큰 만큼 원유수급 대책과 경기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