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사람> “행복기금은 채무자 자활이 최우선”
- 이종진 캠코 서민금융본부장
옴부즈만 제도로 추심업무 대변혁…CA사와 협력, 취업알선에 집중할터


이종진<사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서민금융본부장 겸 금융구조조정본부장은 역삼동 본사와 사장실이 있는 삼성동 아셈 별관을 매일 오가는 유일한 간부다. 국민행복기금 관련 보고를 하기 위해서다. 박근혜 대통령의 1호 공약으로 국민행복기금이 서민금융의 선두 역할을 하면서 챙길 것도, 보고할 사항도 많아졌다. 그는 “서민금융을 담당하다보니 저도 ‘중점 관리’ 대상이 됐다”고 웃음지었다.

그런 그가 최근 업계에 신선한 변화를 가져왔다. 지난달 20일부터 추심업무를 맡긴 12개 신용정보사(CA)사에 캠코 직원을 파견하기 시작했다. 단순 민원처리가 아닌 민원을 조정하고 해결하는 옴부즈만 역할이다. 근무경력 20년이 넘는 배테랑 직원들로 구성했다. CA사들의 첫 반응은 떨떠름했다. 감시자(?)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젠 CA들이 스스로 캠코에 옴부즈만 파견을 요청한다. 


이 본부장은 “7개월간 대화하면서 감시자가 아닌 동반자, 협력자란 믿음을 줬다”고 말했다.

단순히 말로만 준 믿음이 아니었다. 행동으로 보여줬다. 수수료 체계를 확 바꿨다. CA사가 추심업무에 치중하지 않아도 일정 수준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인센티브도 추심 건수가 아닌 채무조정, 자활지원 등의 건수로 산정토록 기준을 변경했다. 업무량도 12개사에 공평하게 분배해 불필요한 ‘업무따기’ 경쟁을 없앴다.

일각에서는 CA사들의 배만 불려주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있었다. 하지만 변화는 놀라웠다. CA사들 스스로 행복기금 운영자로서의 책임감을 갖기 시작했다. 옴부즈만 파견을 요청하고 추심에만 집중하던 업무방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심야전화 등 과도한 추심행위도 크게 줄었다.

이 본부장은 “CA사는 대부분 영세한데 캠코가 수수료 체계를 바꾸는 걸 보고 캠코의 진정성을 알게 된 것 같다”면서 “옴부즈만 제도를 시행한 지 보름가량 지났는데 ‘왜 더 일찍 파견해주지 않았냐’고까지 한다”며 변화를 놀라워했다

그는 “과거 국민행복기금의 목표가 채무자의 ‘빚 탕감’이었다면 이젠 ‘자활과 행복’ ”이라며 ”CA사와 협력해 취업알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채무자의 절반 이상이 40~50대인데 이들이 다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우리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채무자들을 상담할 때 전에는 ‘이 정도 줄여주면 갚을 수 있습니까’라고 물었다면 이젠 ‘뭘 도와드리면 될까요?’라고 묻습니다. 심리상담부터 성격분석, 채무관리, 취업알선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국민행복기금은 ‘빚 탕감 제도‘가 아닌 ‘종합재무컨설팅 서비스’입니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