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D영상 봐도 입체감 못 느낀다면, 뇌 건강 보다 눈 건강 의심해야

화끈한 액션 및 화려한 영상을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3D, 4D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가를 찾는 이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3D TV의 보급으로 안방까지 이어져 이제는 남녀노소할 것 없이 3D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세상이 됐다.

하지만 이런 3D 입체 영상을 제대로 즐기고 싶어도 색을 느끼지 못하는 ‘색맹’처럼 입체영상을 봐도 입체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사람들의 경우 안과질환의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차원 영상은 두 눈의 시각적 차이인 양안 시차를 통해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영화 제작을 위해 우선 우리 눈이 사물을 보는 것처럼 장면을 2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하며 상영 역시 2대의 영사기를 이용한다.

관람자는 편광렌즈를 적용한 특수안경을 끼고 영화를 본다. 이 같은 과정이 합쳐지면 우리 뇌는 3차원 입체영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생산된 3차원 영상을 보는 과정에서 우리 뇌는 평소 사물을 볼 때보다 더욱 긴장하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눈도 마찬가지다. 인위적으로 생산된 입체영상을 보면 부담을 느끼게 된다. 3차원 영화를 관람한 후 피로감과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사람이 유독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3D영화를 봐도 유독 입체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심한 약시, 사시 등의 안과 질환으로 인해 각각의 눈으로부터 오는 영상 정보를 뇌에 올바르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강남밝은성모안과의 이경민 원장은 "3D TV가 생활 속으로 들어온 만큼 눈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요법을 익힐 필요가 있다”며 “주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전문병원의 상담을 받고 인공 눈물 등 자신에게 맞는 가벼운 안과적 치료를 이용하면 시력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