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이형석> 일제 약탈 문화재, 바보같은 ‘무대응’
누군가 내 물건을 훔쳐 감춰둔 사실을 알고도 그냥 가만히 있으면, 절도범은 “아, 별 것 아니구나”라고 생각하면서 죄의식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절도범이 뒤늦게 나마 “미안했다”면서 다 반환한다고 해놓고 여전히 일부를 은닉하고 있을 때, “돌려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행동이다.

일본이 한국을 불법 침략해 지배하던 일제 강점기 무려 6만점의 우리 문화재를 약탈해갔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만 그렇지 개인적으로 빼돌려진 것 까지 포함하면 20만점에 이른다는 추산이다.

전범 일본이 물러간지 20년 만인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를 위한 협정때 일본측은 약탈해간 문화재를 돌려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상당수를 이른바 ‘희소본’이라는 표시를 달아 감춰두고 있었던 사실이 최근 일본 법정 진술서에서 확인됐다. 

일본측이 감추기에 급급하다보니 상당수 문화재는 어둡고 먼지만 켜켜이 쌓인 음지에 방치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하지만, 주무기관인 문화재청은 이같은 통탄할 일 앞에서 아무 반응이 없다. 지금처럼 문화재청이 가만히 있으면 일본은 “쟤네들 빼앗기고도 괜찮은가봐”라고 느끼며 약탈과 불법점유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일이 불거진 후 “그런 항의와 요구는 NGO(비정부기구)나 하는 일”이라던 문화재청 당국자의 말은 국민을 아연 실색케 한다.

병인양요때 프랑스군이 약탈해간 우리 문화재 반환과정에서 보듯, 10여년동안 거듭 반환하라고 요구해야 빼앗겼던 우리 것이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외교적으로 ‘신중한 대응’을 할 일이 따로 있지, 절도 및 은닉 현행범에 대해 아무 대응도 하지 않는 것은 바보다.

할 말 못하고 주저하는 것은 아직도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의 간만 키워줄 뿐이다. 그들이 반성하고 있지 않기에, 전범 일본의 반성 여부는 동아시아 외교의 최대 ‘상수(常數)’이다. 일본의 과거사 관련 사안은 외교적으로 ‘즉각 대응’이 원칙이다. 하물며 절도 및 장물 은닉 현행범임에랴.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