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사업 본사서 직접 챙겨….
[헤럴드경제=홍길용 기자]현대차그룹이 글로벌 판매의 4분의 1을 담당하는 중국사업에 대해 정몽구 회장의 친정 체제를 구축했다. 오는 8월부터 중국 사업은 기획과 생산, 판매로 삼분되고, 각 부문은 현대차와 기아차 서울 본사의 통제를 받게 된다. 현대차그룹의 중국 사업은 그동안 중국사업총괄인 설영흥 전 부회장이 실질적으로 총괄하는 체제였는데 설 부회장이 지난 4월 물러난 후 3개월만에 조직을 개편했다.

현대차그룹은 8월부터 중국사업총괄임원 한 사람이 맡았던 중국사업부를 해체하고 중국 법인의 생산과 판매 부분을 현대차와 기아차의 각 중국사업부로 이관했다. 대신 중국전략담당을 신설해 중국 현지 대외협력업무와 중장기 사업전략 수립을 맡겼다.

중국전략담당은 현대ㆍ기아차를 총괄해 중국 내 대외협력, 중장기 사업전략을 수립하지만, 이전 중국사업총괄과 달리 생산과 판매에 대한 직접적인 의사결정권이 없다. 결국 중국 사업의 최종 의사결정은 각 사에 대한 통제권을 모두 가진 정 회장이 직접 행사할 수 밖에 없다.

정 회장은 중국에 대한 애정도 남다르다. 유럽과 미국 등 대부분의 글로벌 시장을 아들인 정의선 부회장에게 어느 정도 맡기고 있지만, 중국 만큼은 본인이 직접 챙기고 있다. 최근 방한했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의전도 정 부회장이 아니라 정 회장이 직접 맡았다. 심지어 정 부회장은 최근 중국을 공식방문한 적도 없다.

 따라서 그 동안 화교출신인 설 전 부회장의 ‘관시(關係)’가 중심이 됐던 중국 전략이, 앞으로는 글로벌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현대기아차아가 승리하기 위한 필승전략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 된 중국은 글로벌 브랜드의 각축전이 치열하다. 글로벌 5위 자동차그룹인 현대차그룹은 중국에서만큼은 폴크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 다음인 3위(해외브랜드기준)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