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SDI, 이재용 글로벌 인맥 타고 車전지 ‘마하(mach) 확장’
[헤럴드경제=홍길용 기자]이건희 삼성 회장의 ‘반도체 신화’가 이재용<사진> 부회장 대(代)에서는 ‘자동차 전지 신화’로 이어질 조짐이다. 이 부회장이 그동안 차곡차곡 쌓아온 글로벌 인맥이 삼성SDI의 자동차 전지 사업 확장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삼성SDI가 29일 현재 자동차용 전지를 공급 중이거나 공급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독일 BMW와 폴크스바겐, 인도의 마힌드라와 미국의 크라이슬러와 포드 등이다. 그런데 이들 중 대부분은 이 부회장이 최고경영자(CEO)들과 직접 교분을 쌓은 곳이다.

이 부회장은 2012년 모바일 기기 분야 최대 전시회 중 하나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를 제쳐놓고 독일로 날아가 BMW 그룹의 노르베르트 라이트호퍼 회장을 만났다. 같은 해 폴크스바겐의 마르틴 빈터코른 CEO와도 친분을 맺었다. 그리고 2년도 채 안 돼 올 초 폴크스바겐은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삼성SDI 전지사용 방침을 밝혔다. 폴크스바겐 그룹의 일원인 포르셰도 하이브리드 파나메라에도 삼성의 배터리를 채택했다. 또 이달 14일에는 BMW와 전기차에 이어 향후 개발될 하이브리드 모델(HEV)에도 전지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이 부회장은 피아트-크라이슬러 그룹의 지주회사인 엑소르의 사외이사다. 크라이슬러는 F500의 전지 공급업체로 삼성SDI를 택했다. 포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종의 기존 납축배터리 대신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하는 방안을 삼성SDI와 협의 중이다. 이 부회장은 2012년 앨런 멀럴리 CEO(현재 구글 이사)와 만나면서 포드와 인연을 쌓아왔다.

이 부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업계 CEO 대부분과 교분이 두터우며, 이 덕분에 유럽과 북미에서 추진 중인 삼성SDI의 전기차 프로젝트는 10건이 훨씬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의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글로벌 인맥에는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사업과 관련된 부분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중국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친환경차 사업에도 참여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부회장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등 중국 유력인사와도 교분이 투텁다. 최근 시 주석 방한 때는 직접 의전까지 했다.

삼성SDI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 프로젝트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중국 시장에서 BMW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향후 배터리 공급 물량이 급증할 걸로 기대한다”며 “BMW 프로젝트 참여가 상당한 시너지는 낳고 있다”고 말했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