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몸값 오른 아세안, 한국 외교 지렛대 될까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윤병세 외교장관은 지난 28일에 이어 29일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태국 5개 나라 외교장관들과 잇따라 만난다. 29일에는 제 4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에서 이들 국가와 한 자리에서 메콩 강 지역 개발 협력과 한반도 정책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한다.

우리 정부가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은 메콩강 유역 국가만이 아니다. 12월에는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통해 아세안 지역 전체와의 소통에 나선다.

우리 정부가 아세안 외교에 적극 나서는 것은 이 지역의 전략적 선택이 우리 외교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은 북한이 유일하게 참여하는 지역다자체제인 동시에 북한 핵ㆍ미사일 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태도를 명확히 드러내는 자리이기도 하다.

아세안 지역은 최근 큰 변화를 맞고 있다. 냉전 시기에는 대부분 공산권에 속했던 대륙 아세안과 동남아시아조약기구(SEATO)로 묶여 이를 견제해 온 해양 아세안으로 나뉘어 대립했지만 최근 중국과의 남중국해 갈등으로 이들 국가 모두 급속히 미국과 일본에 가까워지고 있다.

미국과 필리핀은 지난 4월 냉전 이후 철수했던 미군을 22년만에 10년 기한으로 순환배치키로 한 새 방위협정을 맺었다. 두 나라는 이후 필리핀 내 수빅 만 해군기지와 클라크 공군기지의 재사용을 위해 협의하고 있다. 또 서로 총부리를 겨눴던 베트남은 물론 개혁개방을 선언한 미얀마, 캄보디아와도 새로운 관계를 모색 중이다.

일본은 올해 11월 아세안 국방장관회의에 맞춰 일-아세안 국방장관회담을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집단 자위권 행사의 사례로 말라카해협에서 해상수송로 보호를 예로 든 만큼 아세안국가로 집단 자위권의 범위를 넓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서 이 지역이 지나치게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칫 2012년 ARF 외교장관회의에서 의장 성명 채택이 무산된 것처럼 남중국해 문제가 지나치게 부각될 경우 한반도 문제를 이들 국가의 주요 논의 의제로 올리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소지역 단위에서 접촉을 늘리며 개발과 경제 협력을 통해 이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고 북핵문제 해결이 아시아 정세에 끼치는 중요성에 대해 설득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