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린리빙-하우징] 대나무·인견·모시…주부 마음에 꽂히다
여름철 폭염을 대비한 시원한 인테리어가 주부들 사이에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똑같은 공간이라도 인테리어 소품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거주자들의 기분은 천지차다. 집안 구석구석에서 빛나는 ‘쿨링’ 소품은 실제 체감온도 저감 효과로 이어져 더운 여름 ‘스윗홈’ 구현에 제격이다. 조금이라도 더 시원한 공간을 조성하려는 주부들의 노력 속에 전해지는 애정 듬뿍 담긴 마음 씀씀이는 덤이다. 인테리어 업계 관계자는 “올해 인테리어 트렌드는 패턴이나 색체와 함께 소재가 중요한 인테리어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며 “소재를 활용하면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실제 체감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덤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여름철 시원한 인테리어를 위한 스테디셀러는 대나무나 인견 등 시원한 소재로 만든 제품들이다.

또한 붉은 색 계통 보다는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전해주는 푸른 색 계통을 쓰는 게 상례다. 또는 밝은 아이보리 컬러로 중립성을 지키면 오히려 푸른색 계열보다 더 시원한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가끔은 인테리어 속 디자인이 시원한 파도나 얼음 등으로 형상화돼 무더운 여름을 이길 수 있는 비책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아예 공간 내부를 시원하게 텅 비우는 방식의 인테리어도 여름철 선호되는 방식이다. 탁 트인 개방감 자체가 시원함과 연결되기 때문. 또 인테리어 소품을 쓰더라도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된 소품을 잘 활용하면 시원한 개방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다

여름철 집 내부 인테리어의 관건은 잠 못도는 여름밤의 괴로움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로부터 사용돼 온 대나무 돗자리나 인견, 모시 등 시원한 소재로 만든 이부자리는 여름철 최상의 아이템이다.

이런 제품들이 생소하다면 시원하고 얇으면서 세탁이 쉬운 이불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런 제품은 가격도 저렴해 가격 대비 효율 최고라는 평이다.

대나무나 편백나무로 만든 베개, 숙면을 부르는 시원한 린넨 패브릭 소재의 얇은 이불은 환상적인 궁합을 자랑한다. 거실에는 시야를 확 틔워주는 유리 테이블에 푸른색이나 녹색 계열의 인테리어 소품을 사용하면 눈이 한층 시원해진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