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한방에 청정국 지위 상실, 수출길 타격까지 우려
[헤럴드경제] 경북 의성의 돼지 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청정국 지위를 잃은데다 회복 기미의 수출길까지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1∼6월 돼지고기는 391만 달러어치, 소고기는 305만 달러어치, 소시지는 256만 달러어치 수출됐다.

돼지고기는 2011년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덕에 3월 몽골, 4월 홍콩과 수출을 재개하기로 합의했고 몽골에 돼지 신선육 15t을 수출한 상태였다.

또 지난 5월 세계동물보건기구(OIE)로부터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를 받은 후 러시아ㆍ필리핀ㆍ베트남ㆍ미국ㆍ일본ㆍ홍콩ㆍ대만 등 7개국에 돼지ㆍ소고기 수출허가를 요청해 협의 중이었다.

aT 자료에 따르면 돼지고기는 2009년 1162만달러 어치가 수출됐으나 구제역이 발생한 2010년에는 78만 달러, 2011년에는 156만달러 어치로 수출이 급감하다 지난해 475만 달러로 회복했었다. 하지만 그러나 구제역 발병으로 청정국 지위를 잃으면서 이 같은 수출노력이 물거품이 됐다.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에서 백신금지 청정국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었던 상황에 구제역이 발생해 수출드라이브에도 한동안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구제역 예방접종 청정국 지위를 다시 얻으려면 몇가지 까다로운 조건을 갖춰야 한다. 2년 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정기적인 백신 접종 실적이 증명돼야 한다. 또 구제역 백신이 적합해야 하며 신속하고 정기적인 질병 보고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과학적인 예찰 실적도 있어야 한다.

한편 방역당국은 평년보다 이른 9월 초에 찾아오는 추석 명절의 ‘민족 대이동’ 이전에 가축질병을 잡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특히 당국의 발등에 떨어진 불은 구제역 방역이다.

이에따라 농식품부는 구제역이 발생한 의성을 비롯해 군위, 고령에 대해 긴급 예방접종을 하도록 했다. 예방접종 후 2주가 지난 농장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접종,항체 형성률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또 전국적으로 가축사육 농가에 대해 예방접종을 철저히 하도록 지시했고, 구제역 피해보상시 농민들의 예방 노력에 따라 살처분 보상금을 차등지급할 계획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