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사람> “ICT최강국…사이버치안 강화 전력”
- 취임 1개월…강성복 경찰청 초대 사이버안전국장
e사기 사후 대처보단 선제 대응
국제 공조 수사 체계 확대키로


“제게는 새로운 도전입니다. 사이버공간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초대 사이버안전국장이란 자리는 영광스러운 한편으로 사명감이 무겁습니다.”

23일 강성복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장은 ‘초대(初代)’라는 단어의 무거움을 느낀 듯 조심스럽지만 단호한 어조로 말했다. 사이버안전국은 국경과 언어를 넘어 날로 확장돼 가는 사이버공간의 치안을 책임지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 6월 기존 사이버테러대응센터를 사이버안전국으로 확대 개편하며 조직을 강화했다. 기존 총경급 사이버테러대응센터장은 경무관급 사이버안전국장으로 승격됐다. 인력도 수사국 내 1과 4팀 64명에서 사이버안전국장과 2과 1센터 12팀 111명으로 확대 편성됐다.


신설된 사이버안전국의 방점은 사이버범죄 위협 분석을 통한 ‘범죄 예방’과 ‘피해확산 방지’에 찍혀있다.

강 국장은 “사이버범죄 신고 대응시스템을 개편해 대응조치를 강화했다”며 “실제 올 들어 스미싱 피해건수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이버 분야 수사는 국경이 없는 만큼 긴밀한 국제 협력 관계 구축을 강조했다. 강 국장은 “최근 국제 사이버범죄대응 심포지엄(ISCR)을 성황리에 개최해 효율적 국제공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ㆍ이란ㆍ일본 등 5개국 법집행기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실질적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등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공조 사건의 약 20%를 차지하는 미국과의 긴밀한 협조를 위해, 현재 사이버안전국에는 미국 FBI 사이버주재관이 합동근무하고 있다. FBI 사이버주재관은 지난해 5월부터 파견됐으며 아시아에선 FBI 사이버주재관이 파견된 국가로는 한국이 유일하다. 이에 국제공조로 해결한 사건 수는 2012년 64건에서 지난해 178건으로 급증했다. 올 들어 6월까지는 100건에 달한다.

강 국장은 “한국이 사이버 공간의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다”면서도 “문명의 이기를 누리고 있지만 잘 관리하지 않으면 이면의 취약점들 많다”고 우려했다. “세계 최고의 기술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해 철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한국은 각종 사이버범죄의 전시장이 되고 있다”며 “사후약방문식 대처가 아닌 선제적 대응으로 사이버 안전을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를 위해 현재 사이버수사대로 ‘계’ 단위로 편제돼 있는 지방청 사이버 기능을 주요청부터 ‘과’ 편제로 개편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치안수요가 많은 서울, 경기, 부산, 경기, 인천지방경찰청부터는 ‘과’를 신설할 예정이다.

김기훈 기자/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