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심이동’ 피해가기…이통 · 제조사의 꼼수
8월에 나올 단말기가 6월에 전파인증을 끝냈다. 심지어 통상 9월에 나오곤 했던 모델도 일찌감치 지난 달 인증 절차를 마쳤다. 

7월 인증 분부터 통신사에 상관없이 기기를 사용가능하도록 한 정부의 새로운 규제에 맞선 통신사와 스마트폰 제조사의 꼼수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삼성전자는 ‘G3 cat6’와 ‘갤럭시 노트4’에 대한 적합성 평가 작업을 전파인증원을 통해 마무리했다. LG전자 ‘G3 cat6’, 그리고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4’ 모두 아직 출시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모델들이다.

통상 실제 출시 한달 전, 때로는 마케팅 전략에 따라 2~3주전 취득하는 전파인증을 제품 개발조차 마무리되지 않는 시점에 먼저 받은 것은 이례적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미래부가 올해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한 ‘유심 이동제’를 피해가기 위한 꼼수”라고 지적했다.

통신사에 상관 없이 유심만 꽂으면 음성통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데이터서비스 등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차질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유심 이동제’다. 정부는 7월1일자 전파인증 단말기부터 무조건 적용토록했지만, 통신사, 그리고 제조사들은 이를 교묘하게 피한 셈이다.

이통사와 제조사 모두에게 유심이동제는 달갑지 않다. 유심이동제가 활성화되면 제조사의 경우 중고 단말기의 재활용이 늘어나면서 새 스마트폰 판매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 통신 3사 모두 활용 가능하도록 주파수를 더하는데 따른 추가 제조비용 및 인증비용 부담도 생긴다.

이통사 역시 “보조금은 우리한테 받고, 실사용은 경쟁사에서 할 수 있다”며 얌체 고객의 증가를 우려했다. 통상 3개월 또는 6개월 의무사용을 조건으로 스마트폰에 보조금을 투여, 고객을 유인해온 지금까지의 판매 전략이 ‘유심 이동’으로 무력화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LTE 서비스가 도입된 지 3년이 지나도록, 이동통신의 핵심 서비스인 음성통화는 여전히 과거 3G 데이터망에 의존하고 있는 것도 고객들의 자유로운 통신사 이동이 달갑지 않은 이런 시각이 만든 결과”라며 “정부가 소비자 통신비 인하 차원에서 도입한 제도지만, 실제 이런 혜택을 누리는 것은 빨라야 내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