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2롯데월드 “안전ㆍ교통 면밀한 검토 필요”…임시개장 불가
-자문단 “초고층공사 대책 더 세밀하게 제시해야”
-힘얻은 서울시 택시 베이 설치등 37건 대책 이행 요구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사용 승인의 키(key)를 쥐고 있는 시민자문단이 ‘임시개장 불가’ 판정을 내렸다. 올해 4월이 목표였던 저층부 영업개시 시점이 기약없이 미뤄지면서 롯데를 상대로 한 입주업체들의 줄소송이 예고된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민자문단은 최근 서울시에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개장을 놓고 안전, 교통유발, 지하수위 저하 등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많다”면서 “공익적 입장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공식의견을 제시했다.

지난 2일 발족한 자문단은 정란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됐으며, 현장점검과 회의를 통해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자문단은 특히 서울시와 롯데 측이 저층부 임시사용을 위한 초고층공사 안전대책, 교통개선대책, 방재대책 등을 더 세밀하게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잦은 안전사고로 저층부 임시개장에 부정적이었던 서울시의 입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서울시는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전날 현안회의를 열고 임시사용 승인을 위해 롯데 측이 택시 베이(Bay) 설치, 교통체계개선(TSM) 사업 완료, 중앙버스정류소 설치 등 37건의 대책을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 보도가 내려 앉거나 경계석 일부가 갈라지는 현상을 없애고 점자블록도 재시공하는 등 11건은 법적 의무임을 확인시키고, 공사ㆍ재난 안전대책, 교통수요 관리계획, 공사차량 운행방안 등 21건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특히 공사장 안전사고에 대해선 공사 자재별로 충돌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방어할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해 관련 대책을 제시할 것을 주문했다. 당초 롯데 측은 600㎏ 커튼 월(칸막이 벽)이 400m 높이에서 떨어질 때의 충돌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출한 바 있다.

피난ㆍ방재부문은 사전 재난 영향성 검토를 했는지 확인하고 층별로 연기발생기를 이용해 감지기와 방화셔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도록 지시했다. 이 밖에 교통부문은 기존 교통개선대책이 잠실권역에 미치는 교통영향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요구했다.

서울시 고위관계자는 “자문단은 지하수 유출, 포트홀(움푹 파인 도로) 등 일반 시민들의 우려를 가장 잘 대변해줄 수 있는 조직”이라면서 “임시개장 여부는 각 분야 대책이 꼼꼼히 마련될 때까지 보수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당초 4월 영업개시에 맞춰 내부 마감 공사를 마친 저층부 입주업체들은 임시개장이 불투명해지면서 소송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층부를 포함한 롯데월드타워는 오는 2016년 말 준공 예정이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