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몽구 현대차 회장, “위협 비켜갈 우회로 없다…실력으로 넘어라”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위협을 비켜갈 수 있는 우회로는 없다. 우리의 실력을 키워 넘어서야만 한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14일 서울 양재동 현대ㆍ기아자동차 본사에서 총 60여명의 현대ㆍ기아차 해외법인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해외법인장 회의를 주재하며 “최근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가속화, 신흥시장 침체, 저환율 등 3대 위협 요인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 회장은 “글로벌 생산 규모에 걸맞은 품질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인 만큼 제품 개발ㆍ설계 단계부터 품질 점검에 주력하고, 품질 교육을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라며 “또한, 현지 소비자에 특화된 제품 개발 및 고객 중심의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에 주력해 고객 신뢰도를 높이고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시장 재편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 회장은 또 협력업체와의 소통과 협력 확대를 통해 부품 공급망을 안정하는 것은 물론, 지역별 판매 네트워크 관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현대ㆍ기아차는 올 상반기 국내외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383만6445대) 대비 5.4% 증가한 404만3415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 중국, 유럽 등 산업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곳은 물론, 신흥시장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판매가 증가하면서 해외 시장에서만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한 347만8217대의 신차를 판매했다.

하지만 정 회장이 ‘3대 위협’으로 인한 위기감을 다시 한 번 강조한 이유는 바로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 내의 부정적인 요소가 곳곳에 산재해 있어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6213만대에 머물렀던 글로벌 완성차 산업수요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8106만대로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올해도 전년 대비 3.6% 늘어난 8400만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그만큼 이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ㆍ기아차의 경쟁 상대인 글로벌 업체들은 산업수요 증가에 대비해 올해에만 200만대 가까운 생산능력을 새롭게 확충했으며, 엔저 효과를 바탕으로 일본 업체들이 공격적인 할인 공세에 나서는 등 치열한 마케팅 경쟁도 벌어지고 있다.

여기에 그동안 성장동력으로 삼았던 러시아, 브라질, 인도 등 신흥시장은 미국의 양적 완화와 지역별 정치 불안 등으로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급부상한 중국에서는 환경 문제로 인한 대도시 자동차 구매제한조치가 확대 시행되고 있으며, 유럽은 독일, 프랑스 등 주요국의 제조업 경기와 고용의 회복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 경기 회복세에 제약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환율 등 여러 악재가 잠재된 상황에서 자동차 회사의 기본인 자동차의 품질을 강조한 것이 정 회장 주문의 핵심”이라며 “하반기에도 글로벌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