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날개만 7.4m, 세상에서 가장 큰 새 화석 발견
[헤럴드경제 =한지숙 기자]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州) 찰스턴 공항이 1983년 확장 공사할 때 발견한 새의 화석이 여태껏 발견된 조류 화석 가운데 최대 크기의 새인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날개를 폈을 때 새의 크기는 행글라이더의 크기와 맞먹는다.

미국 코네티컷주 그린위치의 브루스박물관은 7일(현지시간) 당시 발견된 새 뼈로 전체 몸체와 특징을 추정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기존 발견과 구분짓기 위해 ‘펠라고니스 샌더시(Pelagornis sandersi)’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사진출처=브루스박물관

고생물학자들이 발견 당시 보존 상태가 훌륭했던 새의 해골, 다리 뼈, 어깨뼈, 위시본(목과 가슴 사이 V자형 뼈)을 분석한 결과 이 새는 2500만~2800만년 전에 북미 동부 해안에서 살았으며, 양 날개를 활짝 폈을 때 길이가 6.1~7.4m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여태껏 알려진 날 수 있는 새 가운데 가장 큰 길이다. 보통 행글라이더, 초경량 비행기의 길이가 8.5~9m인 점에 미뤄 거대한 크기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 세상에서 가장 높이 난다는 황제알바트로스(3.5m)를 이 새에 견주면 비둘기 수준이다.

이 새는 알바트로스처럼 시간의 대부분을 바다 위에서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 뿐 아니라 생김새도 독특하다. 긴 턱에 이빨 같은 게 튀어나와 물고기나 오징어를 쉽게 떠올리 수있게 돼 있다. 날개가 길다랗고 매끈한 반면 다리는 짤막하고 뭉툭해 육상에선 볼품 없을 뿐 더러 이륙할 때는 행글라이더처럼 언덕에서 내리막 바람을 타야했을 것으로 보인다. 무게는 22~45㎏로 몸체에 비해 경량이다. 

사진출처=브루스박물관

과학자들은 대략 300만~550만년 전에 번성했던 펠라고니스과의 일종으로 짐작했다. 이빨을 지닌 새는 650만년전에 멸종됐지만, ‘모조 이빨(pseudoteeth)’을 지닌 펠라고니스과는 남극을 비롯해 미 대륙에서 생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댄 캐프카 노스캐롤라이나대학 교수는 “이 새가 급강하하면 태양을 가렸을 것이다”면서 “현대 새는 이빨이 없지만, 시조새는 공룡의 조상으로부터 이빨을 물려받았다. 펠라고니스과는 턱 뼈에 이빨 같은 돌출로 진화했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