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ㆍ中 금융 인프라 구축 ‘3종 세트’ 란…‘위안화 허브 국가 도약’ 초석 마련
[헤럴드경제=서경원ㆍ양대근 기자] 한ㆍ중 정상은 양국의 금융 인프라 구축 방안으로 ▷청산결제 은행 지정 ▷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위안화적격외국인기관투자(RQFII) 허용 등을 골자로 하는 ‘3종 세트’에 합의했다. 이번 합의안이 현실화되면 한국은 세계 5번째 위안화 허브 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한ㆍ중 금융 인프라 구축을 위한 3종 세트의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을 살펴본다.

▶긴밀해지는 원ㆍ위안화=청산결제은행은 중국 밖 역외에서 기관간 위안화 결제 대금의 청산ㆍ결제를 담당하는 은행이다. 사실상 중국 인민은행의 역외지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해당 국가에 직접 위안화 유동성을 공급한다. 한국은 현재 홍콩 등을 통해 위안화 청산결제를 하고 있어 적잖은 불편을 겪고 있다.

중국은 2003년 홍콩을 시작으로 작년까지 대만(2012년), 마카오(2012년), 싱가포르(2013년) 등 4곳에서 청산결제은행을 지정해 왔다. 올해 6월 영국과 독일에서 청산결제은행이 지정됐고, 한국 역시 추가될 예정이다.


위안화 직거래 시장도 열린다. 국내에서 은행 간 외환시장은 원ㆍ달러 시장만 열려있다. 시중은행이 위안화를 환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화를 달러화로 바꾸고 이를 다시 국외 외환시장에서 위안화로 바꾸는 두 번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수수료 부담이 크고 절차도 복잡하다. 하지만 직거래 시장이 생기면 달러화를 거치지 않고 원화로 위안화를 사고 팔수 있다.

이처럼 원ㆍ위안화의 직거래 체제가 구축되면 국내 시중은행들은 청산결제은행에서 바로 위안화를 공급받을 수 있고 초과 보유하는 위안화를 이곳에 넘기는 등 위안화 자산을 국내에 축적할 기반이 마련된다.

또한 직거래 시장에서 매일 시세가 형성되면 기업을 비롯해 해외여행객ㆍ유학생 등이 수수료 부담이 줄어든 합리적인 값으로 환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韓ㆍ中 직접 투자 ‘활짝’=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기반으로 양국의 금융 거래 수요 창출을 위한 방안도 도입된다. 핵심은 위안화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RQFII) 자격 부여다.

RQFII는 승인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역외에서 조달한 위안화로 중국의 채권ㆍ주식시장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한국은 이번에 800억 위안(약 13조원) 규모의 한도를 부여받을 예정이다. 그동안 한국에 적용됐던 해외외국인투자(QFII) 한도와 달리 환전 절차 없이 위안화로 직접투자할 수 있고, 투자자산의 배분 제한도 따로 없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현재 홍콩(2700억 위안), 대만(1000억 위안), 영국(800억 위안), 프랑스(800억 위안), 싱가포르(500억 위안) 등 5개국ㆍ66개 기관에 총 5800억 위안 규모로 부여되고 있다.

RQFII를 통해 국내 투자자들은 중국의 자본시장에 직접 투자할 수 있고, RQFII 자격이 없는 국가의 주요 투자자들이 보유한 위안화가 한국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RQFII를 부여받아도 중국 금융당국이 기관별로 한도를 승인하는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외환당국도 원화 거래를 불허하는 외국환거래규정을 새롭게 개정해야 한다.

한정숙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이전에는 무역 결제 등으로 위안화가 들어와도 운용할 수 있는 창구가 없어 위안화의 수요와 활용이 제한적이었다”면서 “이번 인프라 구축 방안이 현실화되면 한국은 세계 5번째로 위안화 허브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국내 금융을 비롯한 서비스산업도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