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취임 진보교육감,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할때
[헤럴드경제=박영훈 기자]정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대립이 정면충돌로 치닫고 있다. 조퇴 투쟁에 이어 전교조전임자의 복귀 시한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면서 교육계 전반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정부는 ‘법대로’를 주장하며 전교조를 법외노조로 대하기 시작했다. 전교조는 이를 ‘정치적 탄압’이라고 맞서며 ‘총력 투쟁’을 결의했다. 교사들의 집단 조퇴나 연가로 학교는 어수선하다. 애꿎은 학생들은 뒤숭숭한 분위기 속에서 기말고사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전교조 전임자에 대한 휴직 허가를 취소하고 7월3일까지 복직하도록 조치했다. 복귀하지 않을 경우 직권면직 처분 등 강력한 대응에 나설 방침이어서 자칫 전교조 전임자들에 대한 대량 해고 사태로 이어질수도 있는 상황이다. 전교조 전임자는 모두 72명에 달한다.

교육부는 전교조의 지난 27일 조퇴투쟁 참여 교사들에 대한 징계절차에도 착수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30일까지 조퇴투쟁 참여교사들을 파악해서 보고하라고 통보했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에서 보고되는 상황을 파악한 뒤에 징계 수위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교사들에 대한 징계권한은 각 시도교육감에게 있는 만큼, 진보성향의 교육감들이 7월1일 취임을 앞두고 있어 교육부의 의지대로 징계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양측에선 날카로운 파열음만 나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

교육부와 교육청, 교육부와 전교조와의 갈등이 깊어질수록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학생들이다. 전교조와 정부의 정면충돌이 고스란히 학생들의 부담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13명의 진보 교육감 당선자들이 어떤 식이든 중재 역할을 해야한다.

무엇보다 지난 6ㆍ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진보 교육감들 중 8명이 전교조 출신이라는 점에서 주목한다. 이들이 진영논리에 휩싸여 정부와 대립각만을 고집한다면, 대립과 갈등은 걷잡을수 없이 증폭될수 밖에 없고, 결국 학생들에게 큰피해가 돌아갈 것이 뻔해 보인다.

교육을 진영논리로 나눠서는 교육백년대계는 없다. 좋은 교육환경을 만드는데는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을 수 없다.

1일 취임하는 교육감들의 ‘통합과 조율의 리더십’은 그 어느때보다 필요해 보인다. 교육부와 진보교육감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