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 부잣집 10곳 중 6곳은 3代 못 넘긴다”…흥청망청 후손이 문제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부자 되기도 어렵지만, 부잣집 재산을 지키기는 더 어렵다(?)’

미국 경제매체 CNN머니는 25일(현지시간) 부자 가문의 재산이 고갈되는 경우는 절반 이상이 경제관념이 떨어지는 후손 때문이라고 전했다.

실제 자산컨설팅업체 윌리엄스 그룹의 로이 윌리엄스 회장에 따르면, 재산을 모두 탕진한 가문의 약 60%가 처음 부를 일군 사람의 후손들 잘못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

이 가운데 90%는 자산가의 손자나 손녀가 사망할 시점에 모든 재산이 탕진됐다.

즉 재산을 모두 날리고 망한 부자 가문 10곳 중 6곳은 3대를 채 버티지 못한 셈이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윌리엄스 회장은 부모 세대가 힘들게 돈을 번 기억 때문에 소비를 할 때 신중한 반면, 태어날 때부터 막대한 부를 갖고 있는 자식들은 쉽게 소비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유산을 미리 받은 작은 아들이 돈을 모두 탕진하고 가족들에게 돌아오는 내용의 성서 속 이야기 ‘돌아온 탕아’를 상기시키며 “2000년 동안 인간은 변하지 않았다. 준비되지 않은 상속자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현재진행형”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유력가문인 밴더빌트 가문이 대표적이다.

미국의 10대 부호가문이자, CNN 방송의 간판앵커 앤더슨 쿠퍼의 외가로도 유명한 밴더빌트 가문을 처음 일으킨 것은 1800년대 중반 철도산업으로 큰 부를 축적한 코넬리우스 밴더빌트다.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 있는 밴더빌트 가문의 한 저택 [자료=위키피디아]

당시 미국 경제규모를 감안해 계산한 그의 재산은 현재 기준으로 2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역대 미국인 가운데 두 번째로 가장 많은 재산이자, 현재 세계 최고 부자인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주보다도 돈이 많은 것이다.

하지만 특히 밴더빌트 3대에 이르러 그의 후손들은 뉴욕에 거대한 맨션 저택을 짓는 등 막대한 돈을 여기저기 써버렸다. 그 결과 1970년대 밴더빌트 가문의 한 가족 모임 자리에 참석한 120여명 중 백만장자는 한 명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일이 발생하는 데 있어 더 심각한 문제는 처음 자산을 일군 사람들이 자식 세대에게 자신의 사망 이후 돈을 어떻게 분배할 지에 대해 명백하게 알려주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때문에 유산을 두고 자식이나 친척들이 지나치게 싸움을 벌이다 결국엔 재산을 허비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는 지적이다. 모두가 같은 액수의 유산을 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 대책이지만, 현실적으론 불가능에 가까워 부잣집에서 유산 분쟁이 흔히 벌어지는 것이다.

메릴린치 자산운용의 마이클 리어쉬 행동재무 부문 책임자는 이에 대해 “소통의 간극이 생길 수 있다”며 “사람들은 가문 재산을 일군 사람들의 뜻을 두고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어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sparkli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