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손해보더라도 지키는 기초생활질서, ‘안전코리아’의 길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을 꼬집으며 기초생활질서를 지키기 위한 국민의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조원철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우리나라의 안전불감증은 의도적”이라고 말하며 시민들의 안전의식 부재를 경계했다. 안전불감증이 지나쳐 위험한 곳에서도 ‘나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하는 의도적인 안전불감증이 국가 전체에 만연해 있다는 것. 조 교수는 “한국은 정말 역동적인데, 역동적이라는 말 속에는 반드시 불안정이 들어있다”며 “하지만 불안정은 보기 싫고 생각 안하려 들다보니 의도적으로 불감증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사회의 변화가 워낙 역동적이기 때문에 머뭇거리고 있을 시간이 없어 다 잊어버리고 가는 것”이라며 “안전불감증은 경쟁심 때문에 여유가 없는 한국 사회 특유의 문화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미국같은 나라는 여유로운 생각을 하면서 안전불감증도 우리보다 심하지 않은 것 같다”며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는 다른데, 우리는 이기주의에 입각해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심준섭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는 “제도가 없어서 안전불감증이 있는게 아니다”라며 시민들의 안전에 대한 부주의를 꼬집었다. 심 교수는 “사회적 의식이 안전 분야에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게 문제”라며 “정부 역시 안전이 왜 중요하고 안전을 어떻게 지향하는지에 대해서 너무 가볍게 다루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사고가 나도 누가 안죽고 크게 다치지 않으면 그냥 우습게 넘어가는 경향이 있고, 슬픈 희생이 있어야 비로소 반응한다”며 “제도를 만들어서 안전한 나라가 된다면 좋겠지만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는게 먼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심 교수는 이런 안전불감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주인의식을 강조했다.

공공시설을 자신의 시설물로 인식하는 것. 그는“가스 밸브를 잠그는 것은 자기 재산을 지키기 위한 것인데 공공시설 이용할 때는 위험할 것이라는 생각을 못한다“며 “각자 가정에서 하듯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의식이 사회 전반에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어린시절부터 안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며 “소화기 사용법을 배우는 등 정부 중심이 아니더라도 아이들에게 시설 같은 곳에서 안전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