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만은 ‘뇌 신경세포 섬모 이상’에서 비롯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국내 연구진이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 섬모에서 비만의 원인을 찾아냈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팀과 가천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 이봉희 교수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중추인 뇌 시상하부의 섬모 길이가 비만 쥐에서 모두 짧아져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 비만 쥐의 평균 섬모길이는 정상 쥐 5.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에 비해 약 40% 짧은 3.3㎛였다. 특히 3㎛ 미만의 짧은 섬모비율이 정상 쥐는 전체 섬모 중 13%에 불과했지만 비만 쥐는 50%이상이었다. 

연구진은 “동물의 몸은 배부르거나 배고프다는 포만, 기아 등의 신호를 뇌로 보내는데, 여러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인 신경세포 섬모가 짧아져 에너지 과잉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는 게 비만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진은 비만이 아닌 정상 쥐의 시상하부 신경세포 섬모를 짧게 만들면, 섬모가 몸에서 보내는 포만 신호를 감지하지 못해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반면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해 체중이 늘어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번 연구에 대해 김민선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비만이 몸에서 에너지 과잉 상태를 잘 감지하지 못하는 ‘섬모 장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비만이 가장 흔한 만성질환으로 만연해있지만, 효과적인 비만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표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김민선 교수는 “현재 섬모 장애가 발생하는 기전과 이를 극복하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비만을 비롯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치료제, 식욕억제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기초임상의학 학술지인 <임상연구저널>와 <네이처 리뷰 내분비학>에도 소개됐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