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직 판사 소설가가 사기의료를 통해 본 우리사회의 정의 ’보헤미안 랩소디‘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류마티스로 오랫동안 고생하시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사인은 류마티스가 아니라 위암이었다. 독한 약 때문이었다. 그런데 어머니의 생전 지병은 류마티스가 아니라 퇴행성 관절염이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사실로 밝혀진다. 아울러 어머니를 담당했던 의사가 고의로 허위 진단을 했음도 드러난다. 고인의 아들은 판사였다. 아들은 의사를 ‘사기죄’로 고소하지만 대한민국의 판사인 그도 개인인 한 법 앞에서는 무력하다. 그가 마주한 상대는 일개 의사가 아니라 의료, 종교, 사법, 언론, 정치권력이 그물망을 이룬 거대한 시스템이었다. 과연 주인공인 판사의 싸움은 어떻게 끝날까?


제 10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인 소설 ‘보헤미안 랩소디’(나무옆의자)는 사기진료로 어머니를 죽게 한 의사를 상대로 법정 싸움에 나선 한 판사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사회의 정의를 묻는 작품이다. 뉴스에서 보거나 한 집 건너 누군가의 이야기일 듯한 소설의 내용은 짐작처럼 실제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지만, 이 소설의 탁월한 점은 어머니의 죽음과 그 죽음에 얽힌 진실 때문에 공황 장애에 빠져든 주인공의 정신분석 상담 과정을 법정 싸움과 병치시킨 독창적인 구성이다. 과거 세대의 많은 엘리트들이 그러했듯 소설의 주인공은 “판검사가 돼 내 한을 풀어달라”는 어머니의 소원대로 공부를 열심히하고 좋은 대학에 들어가 출세한 인물이다. 홀어머니의 바람대로 살아온 그는 어머니의 물건이 가득한 창고방에 들어갈 때면 공황장애를 일으키고 이를 목격한 후배의 권유에 따라 정신분석을 받기 시작한다. 소설가 구효서는 추천사에서 “무엇보다 정신분석학을 이야기에 끌어들였다는 점이 이 소설의 인상을 강렬하게 한다”며 “이 판사 작가(정재민)에게 이제는 죄와 벌, 역사와 사회에 대한 베른하르트 슐링크(‘책 읽어주는 남자’의 저자)적인 전문성을 기대해도 좋겠다”고 평했다.

구효서가 언급한 대로 작가 정재민은 현직 판사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