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월호 참사 여권 강타…격전지 수도권서 빛 일어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세월호 참사가 6ㆍ4일 지방선거의 핵심이슈로 부상했다. 역풍을 우려해 공세를 자제했던 야권은 ‘정권심판론’을 다시 들고나왔고, 여권은 ‘경제위기론’을 선거의 새 프레임으로 제시하고 나섰다. 정부와의 차별성을 강조키 위해 새누리당이 ‘개각요구’로 맞불을 놓는 점도 눈에 띈다. 여권 후보의 지지율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추격받던 야권 후보들은 여유를 찾은 반면, 여유있던 여권 후보들은 긴장의 끈을 놓치 못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는 새누리당 후보들에 ‘최대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 전 박원순 시장과의 지지율을 오차 범위내까지 좁혔던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의 지지율은 막내아들의 ‘국민미개’ 발언과 부인의 ‘시기가 문제’ 논란 이후 박 시장과의 격차가 눈에 띄게 벌어졌다. 박 시장과 정 후보간 지지율 차가 20% 넘게 나온 것은 ‘세월호 변수’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경기지사와 인천시장 선거에서도 세월호 사고에 따른 판세 변화가 읽힌다. 중앙 정부와의 소통 능력을 강조했던 새누리당 인천시장 후보 유정복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지지율은 30%대에 머물고 있다. 인천지역의 새누리당 지지율이 40%대인 것을 고려하면0 유 후보는 당 지지율에도 못미치는 지지율을 거두고 있다. 남경필 의원의 낙승이 예상됐던 경기지사 선거에서는 김진표 후보의 추격이 거세다. 지난 3월 중순 조사(남 44.1%ㆍ김 26.9%) 때 보다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야권 후보들의 선전이 나타나는 것은 ‘중앙 정치’에 민감한 수도권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날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선 수도권 유권자의 절반 가량이 지방선거를 중앙정부 심판 선거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 관계자는 “영호남의 경우 지지정당을 바꾸는 경우가 적다. 수도권은 중앙정부에 대한 민감도가 타 지역보다 크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의 전략은 두가지다. 세월호 사고로 빚어지고 있는 경기 침체를 ‘경제위기론’으로 격상시키면서 세월호 정국을 조기에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건희 삼성 회장의 건강이상설도 경제위기론을 강조할 배경으로 평가된다. 최근 정부가 7조8000억원의 긴급민생대책 자금을 투입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적극적인 개각론도 꺼내놓는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개각 폭과 관련해 지난 13일 “백지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에 대한 부실 대응으로 도마에 오른 정부를 더이상 옹호치 않으면서, 세월호 직격탄을 피하겠다는 노림수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정권심판론’을 꺼내들었다. 원내에선 박영선 원내대표가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특별검사제 도입, 국정조사 등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 하겠다는 의중이다. 대여 공세의 주제도 ‘안전’을 앞세운 정부 심판이 핵심이다.

세월호 참사가 여권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다수지만 반사이익이 새정치연합에 돌아갈지는 미지수다. 정부에 대한 불신이 정치권으로 옮겨붙으면서 ‘정치 무관심’으로 확대될 경우, 투표율이 낮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사고후 새누리당 정당 지지율이 8%가량 하락(46.7%→38.7%)하는 동안 새정치연합의 지지율(31.4%→30.1%)도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율이 역대 최저치(48.8% 2002년)를 하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애도 분위기 속에 ‘조용한 선거’를 치르자는 여야 공감대가 있지만, 이는 추격을 해야하는 후발 주자들에겐 불리하게 작용할 공산도 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