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직장인 76%, 퇴근 후에도 업무에서 못 벗어나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우리나라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2092시간(2012년 기준)으로, OECD 평균(1705시간)보다 약 400시간 많다. 이처럼 긴 기본 업무시간에도 불구, 직장인 대부분은 퇴근 후에도 회사 업무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은 직장인 1006명을 대상으로 ‘퇴근 후 또는 주말 업무 관련 연락 수신 경험’을 조사한 결과, 75.6%가 업무시간 외에 회사로부터 연락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기업 규모에 따라 살펴보면, ‘대기업 재직자’(80%)가 ‘중소기업 재직자’(73.5%)보다 퇴근 후나 휴일에 회사로부터 업무연락을 받은 경험이 많았다. 업무 연락은 주로 ‘상사’(62.4%)로부터 걸려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다수의 직장인(66.5%)은 퇴근 후나 주말에 걸려오는 업무연락을 ‘별다른 대안 없이 무조건 받고’ 있었다.


‘골라서 받는 편’은 30.5%, ‘모두 받지 않는 편’은 단 3%에 그쳤다.

또 퇴근 후나 주말에 업무연락을 받은 직장인의 89%는 ‘급하게 업무를 처리한 경험’이 있었으며, ‘회사로 복귀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64.9%나 됐다.

한편, 직장인 2명 중 1명(45.5%)은 퇴근 후나 주말에도 회사 일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직급별로는 ‘부장급 이상’(64.3%), ‘과장급’(54.2%), ‘대리급’(48.9%), ‘사원급’(40.7%) 순으로, 직급이 높을수록 업무 걱정도 많이 하고 있었다.

회사 업무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는 이유로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63.1%, 복수응답), ‘해야 할 업무가 너무 많아서’(46.7%), ‘퇴근 후에도 회사에서 연락이 와서’(29.3%), ‘삶이 업무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어서’(23.8%) 등이 꼽혔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